[뉴스추적] 무더운 한반도…때 이른 폭염 이유는? [MBN 뉴스센터]

[뉴스추적] 무더운 한반도…때 이른 폭염 이유는? [MBN 뉴스센터]

【 앵커멘트 】 때 이른 폭염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사회부 선한빛 기자에게 좀 더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 질문1 】 선 기자, 예년보다 폭염이 일찍 찾아왔어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 기자 】 한반도 상공을 뒤덮은 상층고기압 영향으로 폭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상층고기압은 구름을 몰아내고 뜨거운 햇볕을 쏟아지게 만드는데요 예년보다 높아진 우리나라 주변 바닷물 온도 또한 폭염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동해, 서해, 남해의 수온이 예년보다 2~3도가량 높습니다 이는 육지 온도 상승에 영향을 줍니다 【 질문2 】 폭염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 현상이라면서요? 【 기자 】 그렇습니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지구는 더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올 여름이 역사상 가장 뜨거울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에 따르면, 이번 달에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전세계 평균기온이 1979년 기록한 6월 최고 기온보다 섭씨 1도 정도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역대 가장 더웠던 해인 2016년보다 더 더울 수 있을 거라고 경고하는데요 이유는 해수 온난화 현상, 엘니뇨 영향때문입니다 미국 기후예측센터는 엘니뇨 현상이 지난달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면서 엘니뇨 주의보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 질문3 】 이렇게 폭염이 계속되면 특히 노약자분들을 중심으로 온열질환자들도 늘어날 것 같은데요? 【 기자 】 그렇습니다 온열질환은 뜨거운 곳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서 두통이나 어지러움, 심한 피로감 등 증상을 보이는데요 그냥 더우니깐 그런가보다 하고 넘길 일이 아닙니다 이런 온열질환 증세가 나타나면 곧바로 대처해야지 그대로 두면 열사병이나 열탈진같은 심각한 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들어 이미 온열질환으로 1명이숨졌는데요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추정 사망자 1명을 포함해 온열질환자가 82명 신고됐습니다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명 늘었는데요 특히 추정 사망자가 발생한 날짜가 5월 21일인데, 지난해 추정 사망자가 발생한 날인 7월1일에 비해 한 달 이상 빨랐습니다 그만큼 폭염이 일찍 왔다는 겁니다 온열 질환이 발생한 장소는 주로 길가나 논밭과 같은 실외가 많았습니다 【 질문4 】 증세가 있을 때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 기자 】 가장 좋은 건 폭염 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하면 낮 시간대 활동은 피하는 것입니다 어쩔 수 없이 밖에 나가야 한다면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최대한 옷을 가볍고 편안하게 입고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꼭 갈증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주고 혹시라도 어지러움이나 두통같은 증세가 나타나면 곧바로 실내 시원한 곳으로 가서 쉬어줘야 합니다 음료는 술이나 커피, 탄산음료는 오히려 목이 마르게 하는 탈수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당정은 혹서기를 대비해 전국의 경로당과 사회복지시설 냉방비를 추가로 지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 질문5 】 통상 6월 말이면 장마철이 시작되곤 했는데, 올해 장마는 언제쯤으로 예상되나요? 【 기자 】 정확한 장마시기 예측은 어렵습니다 역대 장마 시작일을 평균값으로 내어본다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제주는 6월19일, 남부지방은 6월 23일, 중부지방은 6월25일이었는데요 하지만 이걸로 올해 장마를 예측하는건 별 의미가 없습니다 장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워낙 다양해서 과거에 이랬다고 해서 올해 이쯤 올것이다, 이러한 예상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최소한 이달 말 이후가 되지않겠냐는 전망은 나옵니다 이달 20일에서 21일 사이에 전국적인 비 예보가 있는데 일단 이 비가 장맛비와는 관련이 없는 비 예보라 그렇습니다 【 앵커멘트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