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론을박' 새만금호 대량 해수 유통..."3년 후에 다시 보자" / YTN

'갑론을박' 새만금호 대량 해수 유통..."3년 후에 다시 보자" / YTN

농업용수 공급원이자 수변도시 기반으로 설계 20년간 4조 원 쓰고도 수질 개선 실패 평가 올해 첫 새만금위원회…해수 유통 결론 유보 [앵커] 수질이 악화된 전라북도 새만금호에 대량의 해수 유통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는 위원회가 오늘 열렸습니다 그런데 지금 당장 결정하지 않고 3년 후에 다시 상황을 봐가면서 논의하자고 해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민성 기자입니다 [기자] 전북 군산과 김제, 부안 바다를 걸치는 인공호수 새만금호 주변 농지에 농업용수를 대는 동시에 인근에 들어설 수변도시의 기반이 되도록 설계됐습니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물이 깨끗해야 하는데, 20년간 4조 원 넘게 쏟아 붇고도 사실상 수질 개선에 실패했습니다 이 때문에 바닷물을 대량으로 유통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이어졌고 그래서 올해 첫 새만금위원회에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그런데 결론은 이번에도 나지 않았습니다 [정세균 / 국무총리 : 12월 말부터 배수갑문을 하루 1회에서 2회로 확대 개방하고 있습니다 얼마 되지 않았지만, 수질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보고를 받았습니다 ] 늘어난 해수 유통량으로 인한 수질 개선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2023년까지의 단기 대책을 수립하기로 한 겁니다 이와 함께 그동안 상류인 만경강과 동진강 지역 수질 개선에 치중하던 것에서 벗어나 새만금호 내 대책을 따로 세우기로 했습니다 [한정애 / 환경부장관 : 상류의 오염과 관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대책까지 합쳐서 단기적으로 수질개선을 한번 보고요 그걸 평가하고 2024년부터는 본격 계획을 세워서… ] 환경단체는 이 같은 대책에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대량 해수 유통을 이번에 못 박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다소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한승우 / 전북녹색연합 새만금살리기위원장 : 새만금 기본계획에 해수유통 하겠다, 바닷물로 관리하겠다, 이런 명시적 규정이 없기에 많이 아쉽고 실망스러운… ] 29년째 이어지고 있는 새만금 해수 유통 논란 이번에도 마침표를 찍지 못했습니다 YTN 김민성[kimms0708@ytn co 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온라인 제보]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