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부족 심각…‘가정 대기자 관리’ 대안될까? / KBS

병상 부족 심각…‘가정 대기자 관리’ 대안될까? / KBS

[앵커] 확진 판정을 받고도 병상을 배정받지 못하는 이른바 '대기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임시 방편으로 이런 가정 내 대기 환자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데요, 어떤 식으로 관리하고 보완할 점은 없는지 김민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택대기 중인 확진자와 통화하는 경기도 긴급의료단 의료진 체온과 증상을 묻고 평소 질환 등 상태를 살핍니다 [의료진 : "오늘 혹시 체온 재보셨을까요?"] [확진자 : "37 8도 나오네요 인후통이랑 근육통 계속 있고…"] 집에서 대기중인 확진자들은 본인도 걱정이지만 가족이 감염될까 불안합니다 [확진자 : "가족이 음성 판정을 받았는데 격리는 하고 있지만 같이 생활하다보니까 감염되지 않을까 "] [의료진 : "생활치료센터에 최대한 빨리 가고 싶으신 거죠?"]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90%, 생활치료센터도 70%까지 오르면서 길게는 나흘까지 가정에서 대기하는 확진자가 경기도에서만 하루 평균 270명, 많은 날은 4백 명에 육박합니다 [임승관/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 : " 병상이 모자르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죠 위기상황을 보완하는 프로그램이지 해결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말 필요한 것은 병상을 더 마련하는 것이고"] 이처럼 가정에서 대기하는 확진자들을 제대로 관리하긴 어렵습니다 '가정 대기자'가 입소나 입원을 하기 전까지 자가격리를 충실히 준수하고 있는 지 여부는 파악할 수 없습니다 또, 가족 간 접촉 금지 등 방역수칙도 개인에게 맡겨집니다 이 때문에 경기도는 기존의 감염병 전담 병원에 연말까지 병상 179개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병상 확보를 위해 이미 거점 병원과 의료원 등 공공의료 영역을 거의 동원한 상태, 민간 상급 종합병원의 참여나 협조 없이 병상 부족은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KBS 뉴스 김민아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오대성/그래픽:이현종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