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인 피플] 예술과 과학의 경계에서 '향'을 창조한다!…벤투삭쿠아 서지운 조향사 / YTN 사이언스

[줌 인 피플] 예술과 과학의 경계에서 '향'을 창조한다!…벤투삭쿠아 서지운 조향사 / YTN 사이언스

■ 서지운 / 벤투싹쿠아 수석 조향사 [앵커] 사람의 첫인상은 보통 3분 안에 결정된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그 첫인상을 바꾸는 데는 무려 40시간 이상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어떤 향이 나는지는 이런 첫인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요 여기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오가며 후각은 물론이고 감성까지 자극하는 향을 창조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오늘 '줌 인 피플'에서는 조향 연구소 벤투싹쿠아의 서지운 수석 조향사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보통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할 때 물론 그 사람의 외모나 목소리, 말투 등도 중요하지만 향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사람을 많이 만나는 직업이다 보니까 첫인상을 신경을 쓰는 편인데 저는 신뢰감이나 따뜻한 인상을 주고 싶거든요 조진혁 앵커는 어때요? 저는 황보혜경 앵커와는 다르게 어떤 소개팅 같은 데 나갔을 때 조금 더 호감을 줄 수 있는 그런 향기가 필요하거든요 그럼 이런 첫인상도 혹시 향기를 연결 지을 수 있을까요? [인터뷰] 당연합니다 여자 앵커님 같은 경우에는 신뢰감을 주고 싶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포근하고 두터운 나무, 우드 계열 향에 어울리실 것 같으시고요 그리고 남자 앵커님이 소개팅 나가서 호감을 얻고 싶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아마도 플라워, 꽃 계절에서 아마 과즙을 조금 터치한 그런 향이 어울리실 것 같아요 얼굴이 밝으셔서요 [앵커] 아, 그래요? 그러면 꽃향기 베이스에 거기다가 과일 향을 조금 첨가한 그런 향기라고 말씀을 하셨죠? 이렇게 새로운 향을 찾아내거나 조합해서 새로운 향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을 조향사라고 부르잖아요 이런 조향사분들이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한데요 [인터뷰] 조향사분들은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오가면서 향을 만드는 사람인데요 많은 분이 단순히 조향사분들을 향을 만드는 이런 향수 같은, 디퓨저 같은 향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는데요 세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향을 만들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한 향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그 예로 앵커님이 아침에 일어나셔서 씻을 때 필요한 샴푸, 비누, 로션, 메이크업 이런 제품들에 모든 향이 들어가 있고 다 조향사분들이 만들게 됩니다 [앵커] 그러고 보니까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화장품이나 세정 용품에도 각자의 향기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이런 향이 조금만 다르게 배합해도, 결과물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향을 제조하는 과정이 굉장히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인터뷰] 맞습니다 향은 굉장히 미묘하고 섬세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 특징 때문에 조금이라도 배합이 잘못되면 그것은 폐기하고 다시 만들어야 해요 왜냐하면, 향을 뺄 수가 없으니까요 넣을 수는 있지만, 그래서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조향사면 후각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사실 후각도 물론 좋아야 하지만 상상력과 창의력, 어떤 향을 만들지 다 자기가 계획이 있어야 하거든요 그리고 원하는 향이 나올 때까지 실험을 계속해야 해서 그것에 대한 의지와 끈기력이 더 많이 요구됩니다 [앵커] 조향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끈기와 상상력이다 생각해보지 못했던 부분인데요 향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그런 직업이잖아요 조향사님은 어떤 이유로 이렇게 조향사의 길을 걷게 되셨나요? [인터뷰] 사실상 굉장히 길어요 제가 어릴 때부터 향을 굉장히 좋아했어요 민감해 하고 어머니 살냄새, 아버지 살냄새, 이런 것을 굉장히 좋아했거든요 후각에 민감했는데 처음의 인연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향수 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