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역 무정차' 놓고도 '네 탓' 공방…본질은 결국 '현장 통제' / KBS 2022.11.01.
참사 당일, 지하철 열차가 이태원역에 서지 않고 통과했다면, 인파가 덜 몰리고, 사고 위험도 줄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어왔습니다 그러자 경찰과 서울교통공사는, 그 '무정차' 결정을 내리지 않은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는 듯한 공방을 벌여왔는데요 본질은 그런 소모적 공방이 아니라 결국 '현장 통제'에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참사 당일 이태원역 승하차 인원은 13만여 명이었습니다 1년 전 같은 시점, 즉 핼러윈을 앞둔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과 비교할 때 두 배 넘게 많았습니다 [사고 목격자/음성변조 : "인파가 몰려서 (개찰구로) 올라가기까지 한 15분 넘게 걸렸습니다 "] 그 인파가 몰린 이태원에선 결국, 참사가 발생하고 말았는데, 사고 장소가, 이태원역 1번 출구로부터 걸어서 1분 정도의 지척이었습니다 지하철이라도 무정차 통과했으면, 인구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좀 줄일 수 있지 않았겠냐는 지적이 나왔던 이유입니다 그러자 이를 놓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의 책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먼저 경찰이, 사고 사흘 전 관계기관 간담회 때 무정차 통과를 교통공사 측에 요청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사고 당일 밤 9시 38분과, 사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무정차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황창선/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 : "(사건 당일) 21시 38분과 발생 직후인 23시 11분에 2차례, 1번은 휴대전화, 1번은 사무실 유선전화로 요청(했습니다) "] 하지만 교통공사는, 사고 전 경찰이 무정차를 요청한 적 없다고 했습니다 사고 '이후'에는 요청이 있었지만, 승객 불편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 시점엔 이미 이태원에 유입되는 인구보다 귀가하려는 승객이 더 많았다는 취지입니다 결국 어느 쪽 말이 맞는지를 굳이 가리자면, 수사 등으로 통화 내역을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본질은 체계적인 '현장 통제'에 있지, 지하철 정차 여부가 핵심이 아니란 지적도 있습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 "인근 지역까지 같이 통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분명히 이태원으로 모여드는 다양한 경로를 이용해서 다 접근할 수 있는 거죠 (무정차가) 안전 관리 대책의 모든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이 들어서 본질은 아닌 것 같은 "] 경찰은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지하철 운영사는 '승객' 안전을 책임집니다 이번 참사가 대중교통에서 발생한 일이 아니란 점에서, 실질적인 책임은, 결국 경찰 쪽이 더 무거울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석훈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이태원역 #무정차 #책임공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