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참사...축제가 순식간에 재난으로 / YTN
■ 진행 : 김선희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역대 최악의 압사사고로 기록될 이번 이태원 참사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어서 오십시오 [이웅혁] 안녕하십니까? [앵커] 먼저 이번 사고 사망자 153명으로 집계가 되고 있습니다 부상자가 103명이고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압사사고 가운데 가장 많은 그런 희생자가 나온 상황입니다 여러 가지 원인들이 지목되고 있는데요 교수님께서는 어떤 걸 가장 먼저 꼽으실까요? [이웅혁] 일단 153명이라고 하는 그런 많은 인원이 사망한 원인과 현재 상태를 보게 되면 소위 질식한 형태입니다 일부 시신은 선 채로 사망한 경우도 있다고 보도도 나오고 있는 것 같고요 물론 도미노식으로 밑에 이른바 깔려서 무게에 못 이겨서 결국은 질식하게 되었던 이런 것인데요 소위 말해서 압박성 질식사라고 하는 이 자체가 이번 사건의 핵심인데 그 얘기는 왜 그러면 사전에 군중 관리를 못했느냐 군중 관리가 없었던 점이 저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클라우드 매니지먼트라고 그런 개념인데요 이렇게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몰리는 이런 상태라고 한다면 그 사람들의 특성이 무엇인지 또 예를 들면 어떠한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인지, 또 그 지역에 가장 병목, 도로가 모이는, 도로가 갑자기 좁아지는 곳은 어떤 것인지를 먼저 사전에 평가를 해서 이른바 위험성 판단을 했어야 되는데 이것 자체가 사실은 전혀 없었다 어떤 측면에서 본다면 행사 주관 기관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는 문제도 있지만 그래도 그 누군가는 했어야 되는데 그 어떤 단체는 이것을 사전에 판단해서 일정한 조치들을 해서 핵심적인 것은 이와 같은 밀도를 분산시키는 이런 계획을 사전에 실시를 하고 집행을 했어야 되는데 이것이 없다고 하는 소위 군중 관리의 실패, 그다음에 두 번째 상황은 군중 통제입니다 즉 이 상황에서 어떻게 적절하게 사람이 많이 모이는 직전에 분산시킬 수 있는지, 소위 말해서 노선이죠 이것을 다른 쪽으로 돌린다든지 이동 통제라는 개념인데요 그것도 사실은 없었던 것이죠 그러다 보니까 위에서 밀리고 밑에서 올라가고 이런 상태가 되게 되면 중간에 넘어지게 되는, 힘의 불균형이 생기다 보니까 그 장소가 어느 지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한 사람이 넘어지게 되면 그다음에 도미노 식으로 계속 연속적인 일들이 발생하는데 그 뒤에 있는 사람은 앞에 어떤 일이 생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이른바 왜곡된 군중심리 같은 것도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사실은 악순환의 고리로 이렇게 발생하게 돼서 무려 153명의 끔찍한 참사가 발생했기 때문에 결국 요약을 하면 사전에 준비가 없었기 때문에, 즉 안전에 대한 민감한 각성도가 부족한 것이, 그것이 중앙정부의 책임이든 아니면 지자체의 책임이든 또는 이태원 상가의 책임이든 아니면 또 다른 경찰 인력의 사전에 배치의 책임이든 어쨌든 이런 혼합적인 문제가 153명의 끔찍한 참사를 자아냈다, 저는 그런 평가를 합니다 [앵커] 10만 명이 예상됐었는데 군중관리 실패, 통제 실패 이런 것들을 주요 원인으로 꼽으셨습니다 [앵커] 지형적인 특성도 있었던 것 같아요 지금 사고가 난 해밀턴호텔 옆골목이 도로 폭이 좁은 데다가 경사진 길이고 마치 연석을 올려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