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논술 [지문 A] = 출제자의 '힌트'라고?

연세대 논술 [지문 A] = 출제자의 '힌트'라고?

연세대 수시 논술의 특징 : ‘다면사고형 논술’ 다면사고형 논술이란 하나의 답이 나올 수 있는 문제를 지양하고 다양한 답을 유도하여 수험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연세대는 줄곧 다양한 관점이 혼재된 제시문들을 주고, 복합적인 여러 글을 토대로 자신의 생각을 쓸 것을 주문한다 수험생이 주제에 관한 자신의 관점과 생각을 쓰기 때문에 단일한 답안이 나오기 힘들고 자기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력이 측정될 수밖에 없다고 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느끼는 익숙한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평소에 주변의 사물과 사건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과 다른 타인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새겨듣는 능력을 꾸준하게 키우면 좋다 연세대학교 측이 발표한 채점 기준 ◦ 연세대학교 논술고사에서는 독해력, 논증력, 표현력, 창의력 등이 주로 평가의 기준이 됨 ◦ 독해력: 제시문의 논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 제시문의 대주제와 소주제를 파악해야 함 대주제: 여러 개의 제시문에 공통된 주제 소주제: 대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특정한 제시문에 담긴 주제 대주제와 소주제의 연관관계: 대체로 제시문들은 대주제를 반영하는 여러 개의 텍스트로 구성되므로 여러 제시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제시문과 대주제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논증력: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이를 자료(예시 혹은 인용)를 통해 입증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 논리적 전개란 제시된 주장이 논리적으로 구성되고 글의 앞뒤에서 논리적 모순이 생기지 않아야 함을 의미 이러한 주장을 경험적 자료(예)를 통해 입증할 수 있어야 함 ◦ 표현력: 글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읽는 이에게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 문장과 문단의 구성을 주로 평가의 대상이 됨 쉬운 문장을 사용하여 의미 전달을 쉽게 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청됨 복문이나 중문보다는 단문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문단 구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주장을 강하게 전달하기 위해 두괄식 글쓰기가 바람직함 원고지 사용법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창의력: 주어진 주제에 대해 얼마나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능력을 평가 자신의 독창적 주장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주어진 제시문과 문항에 대한 기계적 암기식 답안 금지 상투적 주장이나 전형적인 사례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음 #연세대 #연세대논술 #연세대인문논술 #2025대입 #대입 #수시 #수시논술 #논술 #인문논술 #입시전략 #수시전략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논술 #논술합격 #논술작성 #대치해강 #송권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