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의 현실과 과제[김종천의 신나소 신나세] [부산MBC 자갈치아지매 230622]

다문화 사회의 현실과 과제[김종천의 신나소 신나세] [부산MBC 자갈치아지매 230622]

다문화 사회의 현실과 과제 출연: 부산가톨릭대학교 김종천 특임교수 방송: 부산MBC 자갈치아지매 230622 우선 다문화라는 용어에 대해 먼저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시작했으면 합니다 다양한 문화가 함께 공존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어떻습니까? 다문화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는 참 좋지만 말씀대로 차이를 존중하면서 어우러져서 살아간다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문화사회의 역사는 어떻습니까? 이민으로 국가형성 초기부터 다문화의 개념을 접한 경우와 그 이후 받아들인 국가들 간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세계 최고 다문화 선진국으로 알려진 호주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외국인들이 많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정확이 다문화 사회로 부를 수 있는 것입니까? 외국인의 인구 비중으로 볼 때는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인구 비중만으로 다문화 사회로 평가하는 것인가요? 말씀대로 다문화 사회를 위한 기반조겅이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로 진행되어 가고 있습니까? 우리 문화와 구분하고 경계 짓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의 실태를 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실태가 제대로 파악은 되고 있나요?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의 가장 큰 어려움은 주로 어디에 있습니까? 정부가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우선 언어와 교육문제에 집중해서 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끝으로 한 말씀 남겨주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