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딥시크 등장에…삼성전자·SK하이닉스 예의주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bVsNbGoVHok.webp)
'가성비' 딥시크 등장에…삼성전자·SK하이닉스 예의주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가성비' 딥시크 등장에…삼성전자·SK하이닉스 예의주시 [앵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저가형 AI 모델의 등장에 전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AI 모델 개발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는 기존의 상식을 깼기 때문인데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반도체 업체들도 이에 따른 영향을 살피고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AI 모델 현재 최고 수준의 AI로 꼽히는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구현한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전세계 AI 시장을 놀라게 한 점은 개발에 600만 달러, 우리 돈 87억원도 채 들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는 오픈 AI가 챗GPT에 투자한 비용의 18분의 1 수준인데,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저가형 반도체를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AI 모델 개발에 있어 공식처럼 통하던 '고성능 고비용' 반도체 사용 전략이 깨진 겁니다 이에 고성능 고비용 전략으로 AI 시장에서 독주하던 엔비디아의 질주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엔비디아 등 미국 시장 중심의 전략을 짜던 우리 반도체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가성비 AI 모델이 확산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집중하던 고성능 고대역폭메모리 HBM 외에 범용 반도체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엔비디아에서 사용하는 HBM만 AI 가속기에 들어간다는 인식이 컸었는데, DDR5라든지 이런 메모리 반도체가 AI 반도체에서 배제됐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AI에서도 충분히 활용이 된다…" 고성능 장비 없이도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리면서, 장기적으로는 반도체 수요가 늘고 우리 반도체 업계도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ju0@yna co kr) #딥시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