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인사이트 35회] 치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 YTN](https://poortechguy.com/image/bmd3a-USqTc.webp)
[메디컬 인사이트 35회] 치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 YTN
□ 방송일시 : 2024년 6월 7일 (금) 저녁 7시 30분 □ 담당 PD : 이시우 □ 담당 작가 : 김배정, 김현정 □ 출연자 : 김현철 (치과 전문의) □ 방송 채널 IPTV - GENIE TV 159번 / BTV 243번 / LG유플러스 145번 스카이라이프 90번 케이블 - 딜라이브 138번 / 현대HCN 341번 / LG헬로비전 137번 / BTV케이블 152번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임플란트 정의 ▶ 임플란트 역사 ▶ 임플란트 구성 및 과정 ▶ 임플란트 주의사항 ▶ 치조골 이식술 ▶ 무절개(최소절개) 임플란트 ▶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 임플란트 치료 기간 ▶ 메디컬 AI Q&A ▶ 이것만은 기억하자 ◆ 김현철 :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김현철입니다 제가 오늘 준비한 이야기는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입니다 ◇ 박상훈 성우 : 유치와 영구치에 이어 제3의 치아로 불리는 임플란트 지난 2022년 65세 이상 노인 중 임플란트 수술을 한 환자는 80만 5천여 명이며 5년 전에 비해 87 6% 증가한 상황이라고 한다 여기에 최근 20~30대와 40~50대 중장년층 환자까지 합치면 해마다 100만 명 이상이 임플란트 수술을 받는다고 하는데, 관리만 잘하면 영구치처럼 평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임플란트 안전하고 성공적인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 꼼꼼히 따져봐야 할 점은 무엇이고, 임플란트 관련 속설에 담긴 진실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임플란트 정의) ◆ 김현철 : 여러분 누구나 치아를 중요하게 생각하시죠? 이러한 치아는 건강하게 태어난 아이를 기준으로 생후 6개월서부터 유치가 나게 되고 여섯 살 때부터 유치가 빠지면서 영구치가 나오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구치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대체제가 없죠 상어 같은 경우는 일생에 3만 5천 개의 치아를 갖게 된다고 합니다 이가 빠져도 계속 재생이 되는 거죠 그렇지만 우리 몸에는 그러한 재생 능력은 없기 때문에 치아를 대체할 많은 연구들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가 개발되게 됐습니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정의내리자면 자연치아를 상실한 사람들을 위해 설계된 인공치아 뿌리라고 정의를 내릴 수가 있습니다 주로 티타늄 소재로 만들어지고요 턱뼈에 위턱이나 아래 뼈에 아래턱뼈에 삽입이 돼서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게 됩니다 (임플란트 역사) ◆ 김현철 : 사실 이러한 치아를 대신하는 기능을 가진 조직에 대한 연구 그리고 사용은 아주 옛날부터 이루어졌었죠 고대시대 고대 이집트나 마야 문명에서는 동물의 이빨이나 아니면 신체의 작은 뼛조각 등을 이용을 해서 치아를 금으로 엮던지 이렇게 구리 같은 걸로 묶어서 치아의 기능을 대신했다라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대적인 임플란트의 시작은 20세기가 돼서야 발전을 시작을 했습니다 20세기가 돼서도 이제 치과보다는 처음에 정형외과에 스웨덴 정형외과 브로네마르크 과학자 이제 처음에 개발을 하게 되셨습니다 치아가 아니라 토끼 뼈에 챔버를 심고 거기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을 하다가 뼈와 챔버가 너무 단단하게 결속이 되어 있고 뼈가 붙어 있어서 이것을 이용을 해서 뭔가 조직을 재건을 할 수 있겠다 하는 연구에서부터 시작이 됐고요 1965년이 되어서 이제 턱 기형 환자에게 치아를 재건시켜주는 임플란트를 사용한 재건을 시켜주는 첫 사례가 시행이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도 임플란트는 형태학적으로 다양하게 변해왔습니다 처음에는 아무래도 조그마한 조각이 뼈에 붙는 데에 대한 불신이 있어서 이렇게 커다란 칼날처럼 되어 있는 금속을 뼛속에 박기도 (중략) 이시우 PD (lsw5407@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