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협상 관련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 브리핑 / YTN

비핵화 협상 관련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 브리핑 / YTN

[앵커] 어제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핵무기 없는 한반도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동선언에는 미사일 시험장 폐기에 대해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고, 미국의 상응조치에 따라 영변 핵시설도 영구 폐기한다는 내용이 담겼는데요,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공동선언의 의미와 우리 정부의 한반도 비핵화 구상을 설명합니다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 연결합니다 [이도훈 /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이도훈입니다 평양 정상회담의 비핵화 분야의 성과 브리핑에 대해서 브리핑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평양에서 양국, 우리 남북 정상이 평양 공동선언을 발표할 때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문자 그대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습니다 한반도의 비핵화 그리고 평화 정착 문제가 세계인의 문제, 세계인의 관심사가 되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그래서 이번 평양 정상회담의 외교적 측면, 특히 한미 공조와 한미 간의 협력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잘아시겠지만 지난 밤 사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트위터를 날렸습니다 북한 문제 관련해서 엄청난 진전을 이뤄내는 중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평양 정상회담 결과를 환영하고 북미관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북한과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 여기서 중요한 대목은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라는 겁니다 특히 구체적으로 다음 주 UN 총회 계기에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초청하고 그다음에 실무협상을 비엔나에서 갖자라고까지 이야기를 했습니다 미국뿐 아닙니다 일본 그리고 중국, 러시아도 일제히 환영을 표하면서 우리의 노력에 대해서 지지를 하고 비핵화의 본격적인 진전을 기대하였습니다 여러분 돌이켜 보면 지난 2008년 이후에 전혀 움직임이 없었던 비핵화 분야의 협상이 지난 2월 달에 평창올림픽 그리고 3월의 특사 방북 이어서 4월 27일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 그리고 한미 정상회담을 거쳐서 미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그 과정에서 지금 여기까지 왔습니다 이것은 결코 작은 진전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특히 또 지금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 이후에 교착 상태에 있던 이 상황에서 이번 평양 정상회담에서 합의를 이뤄냄으로써 북한과 미국 양측의 대화의 물꼬가 다시 트였다, 이렇게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평양선언하고 그리고 미국 쪽 성명을 잘 읽어보면 양측이 대화를 통해서 비핵화 문제와 평화 정착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의지가 엿보입니다 분명히 엿보입니다 작년 이즈음에 군사적 옵션까지 이야기하던 것에 비해서는 엄청난 진전입니다 여러분들 잘 느끼실 겁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 외교부 그리고 우리 정부로서는 평양 정상회담의 성과를 기초로 해서 UN총회와 한미 정상회담 그리고 나아가 있을 수 있는 북미 정상회담 등을 통해서 비핵화의 진전을 가속화시키고 한반도 평화 정착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기도는 그런 생각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번 평양회담과 그 평양공동선언 이것은 우리 정부가 지금까지 항상 설명을 해 왔지만 남북 관계의 진전이 북미 간의 진전을 가져오는 데 뒷받침이 될 수 있다는 논리를 반증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지금까지는 항상 회의도 있었습니다 남북 간에 문제를 한다고 해서 어떻게 비핵화로 가느냐 그런데 여러분이 보셨지만 어떤 분들한테는 작은 성과라고 볼 수 있지만 저에게 보면 큰 성과입니다마는 이런 식으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