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원년으로” 울산시 ‘탄소중립’ 첫 발

“탄소중립 원년으로” 울산시 ‘탄소중립’ 첫 발

[앵커] 탄소중립이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산업도시 울산도 '탄소중립'을 위해 올해 첫 발을 내딛습니다 울산시는 조만간 '탄소 중립도시'를 선언하기로 했는데 목표와 과제를 짚어봅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한 문재인 대통령, 올해 신년사에도 의지를 담았습니다 ["올해 안에 에너지와 산업을 비롯한 사회 전 분야에서 '2050 탄소중립' 추진계획을 구체화할 것입니다 "] 탄소 중립은 산업도시 울산엔 더 절실합니다 울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정점이던 2018년 5천 6백 60만 톤 전국의 8% 가량으로 인구대비 비율이 높습니다 이 가운데 산업 부문이 87%, 비산업 부문이 13% 가량을 차지합니다 2050 탄소중립도시로 가기 위해 울산시는 올해를 '탄소 중립'의 원년으로 삼고 탄소중립위원회 등 민관이 함께하는 장치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울산시는 우선 교통 등 비산업부문에서 2030년 까지 정부 목표치보다 6%포인트 가량 높은 온실가스 30% 가량을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핵심은 화석연료를 얼마나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느냐는 겁니다 수소경제와 부유식해상풍력 등 5대 에너지 사업에다 이산화탄소 자원화 사업이 규제특구로 지정된 점은 울산의 강점입니다 [김병조/울산시 환경생태과장 :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울산의 신성장 동력인 미래 산업과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겠습니다 "] 문제는 산업부문입니다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에너지 원의 급격한 전환은 업계의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일자리 감소 등의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따라서 탄소 감축을 위한 지자체와 업계의 선제적 대응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