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하우스 사망' 이주노동자 49재..."비극 재발 막아야" / YTN

'비닐하우스 사망' 이주노동자 49재..."비극 재발 막아야" / YTN

한파 속 비닐하우스서 잠자던 이주노동자 숨져 "간경화 혈관 파열" 사인에 "열악한 환경이 원인" "고용허가제가 이주노동자 비극 불러…폐지해야" "사업장 이동 막는 것, 노예제와 다름없어" [앵커] 지난 연말 한파 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비닐하우스에서 잠을 자다 숨진 캄보디아 출신 이주노동자 누온 속헹 씨의 49재가 열렸습니다 고인을 추모하려 모인 사람들은 이런 비극이 다시 일어나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캄보디아에서 온 누온 속헹씨가 숨진 채 발견된 것은 지난해 12월 20일 영하 18도의 강추위에 한파 경보까지 내려진 날이었지만, 얇은 비닐하우스에 칸막이만 한 숙소에서 잠을 자다 변을 당했습니다 속헹 씨의 49재에 모인 사람들은 이주노동자들이 최소한의 인권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양한홍 /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집행위원 : 캄보디아 노동자 뿐 아니라, 모든 이주노동자들은 거의 사람 취급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가 이렇게 돌아가시고, 쫓겨나가고, 쫓기다 죽고, 그런 지경에 빠져있습니다 ] 속헹 씨의 사인도, 경찰은 간경화로 인한 혈관 파열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지인들은 그 역시 열악한 환경 때문이라며 개탄하고 있습니다 당초 내국인과 동일한 대우를 위해 만들었던 고용허가제가 이번과 같은 비극을 불러왔다며,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몽 스님 / 조계종 사회노동위원장 : (고용허가제는) 17년이 지난 오늘날, 이주노동자의 생명을 앗아가고 고통을 가중시키는, 더이상 존속돼서는 안 될 제도로 전락해 버린 지 이미 오래 됐습니다 ] 참석자들은 사용자의 동의 없이는 이주노동자들이 사업장을 옮길 수 없게 막는 것은 노예제와 다름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속헹 씨의 49재는 그동안 한국에서 일하다 숨진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천도재와 함께 열렸습니다 YTN 기정훈[prodi@ytn co 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온라인 제보]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