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대비 예방행동수칙 팁(손씻는법+마스크착용법)

코로나 바이러스 대비 예방행동수칙 팁(손씻는법+마스크착용법)

#0:33 손씻는방법 #5:07 마스크 착용법 안녕하세요 모리의원 이상욱 원장입니다 저희 병원에 일반 탈모환자 두피염 환자, 원형탈모 환자 분들이 참 많으신데 이런 분들이 면역이 많이 약해져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우한 폐렴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 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특히 이러한분들이 개인위생에 더욱 신경을 써야 될 것 같아서 오늘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 손씻는 방법 마스크착용법 평상시에 어떻게 생활해야 될지 대해서 전체적으로 좀 알려 드릴까 합니다 먼저 손 씻는 요령을 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손을 씻을 때 어떻게 씻냐 그리고 세정제를 바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손을 비누로 씻거나 묻히거나 세정제를 어느 정도 손바닥에 뿌렸죠 그러면 우리가 먼저 비누를 설명드리면 비누를 할 때는 이렇게 전체적으로 묻힌 다음에 반드시 손끝을 이렇게 만드셔야 됩니다 손끝을 정확하게 이렇게 비벼서 교차로 해서 이렇게 이렇게 해서 몇 번 해 주고 다시 깍지껴서 손가락 사이를 이렇게 해주시는 게 되게 중요합니다 그다음에 손 안쪽 바깥쪽을 하고 이왕이면 손목까지 해주는 게 좋고요 그다음에 깨끗이 말리는 거 이것만 하고 그냥 대충 털어서 나오시는데 물론 비누로 안 하는 것보다는 났지만 확실 하려면 깨끗하게 휴지나 종이나 수건으로 깨끗하게 말리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습하면 세정효과가 굉장히 떨어집니다 두 번째 우리가 이제 세정제를 쓸 때도 비누 할때도 마찬가지지만 사용한다면 세정제도 똑같이 비누때처럼 이렇게 손가락 끝으로 깍지껴서 하고 손가락 사이에 다시 깍지를 껴서 전체적으로 손바닥 끝 그다음에 손목까지 해 주고 그 대신 여기서 중요한 게 손을 이왕이면 물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흐르죠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비누나 세정제로 하면 이게 흘러 내려서 여기도 안 좋아질 수가 있어요 그래서 흘러내려도 밑으로 흘러 내려서 나가게 이왕이면 이렇게 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밑으로 의사들이 보통 수술실 앞에 소독하는 세팅이 되어 있는데 베타딘 소독제있고 물이 나오고 이런 공간이 있는데 그게 전부다 물이 밑으로 가게 아니면 손을 이렇게 하면 보통 이제 이렇게 하죠 우리 이제 영화 의학드라마를 보면 수술할 때 보통 이렇게 해서 손을 씻습니다 그럼 물이 팔꿈치까지만 내려오고 위로 안 가요 그럼 닦을 때도 간호사가 소독된 타월을 줍니다 그러면 의사가 손을 닦고 여기까지만 하고 버려버려요 그래서 밑으러하던지 여기서 떨어지던지 이렇게 주로 하거든요 우린 여기까지 올 필요 없으니까 대충 손의 손끝이 밑으로 가게 해서 더 이상 이쪽으로 방금 씻은 물이 이쪽으로 흐르지 않게 이렇게 하면 좀더 좋은 세정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손 세정제는 거기에는 알콜이 들어있어서 많이 쓰면 피부가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조금 있습니다 근데 최근에 손세정제 기본적으로 보습제가 좀 들어 있는 게 좀 많아요 그래서 심하진 않은데 그래도 너무 자주 하면 건조해 지니까 자주 핸드크림을 바르시거나 아니면 세정을 기본적으로 최소한 세 번 많이 할수록 좋습니다 그래도 웬만하면 열 번까지는 너무 많은 거 같고 그리고 우리가 문을 닫고 열 때에 그 문고리 손잡이를 우리가 웬만하면 안 만지는 게 좋아요 바로 돼 있으면 우리가 이제 팔꿈치로 하든지 아니면 동그랗게 돼 있으면 이렇게 팔로 해서 이렇게 하던지 그것도 안 된다 반드시 손을 써야만 된다 이왕이면 새끼손가락 하나만 걸어 가지고 문을 이렇게 닫고 열던지 그냥 발로 살짝 하던지 이게 되게 중요합니다 우리가 문고리에 는 굉장히 많은 세균이 있습니다 문고리 그리고 우리가 자주 만지는 핸드폰 그리고 돈도 마찬가지죠 요즘 뭐 현금 쓰는 사람 잘 없으니까 그래도 돈도 많이 주의해서 만지길 바랍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를 누를 때도 이왕이면 팔꿈치로 누르던지 팔꿈치가 너무 커서 정밀하게 못 누르겠다 그럼 이제 손가락 보다는 첫 번째 마디가 그래도 좀 더 이걸 우리가 쓸 일이 잘 없죠 그러니까 마디 중에 뭐 이런 네 번째 마디나 이런 거를 이용해서 이렇게 누르시면 게 좋습니다 그리고 마스크 사용법은 마스크를 보면 다 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마스크는 심지가 한쪽으로 돼 있어요 한 쪽은 없고 심지어 있는 쪽이 코입니다 왜냐면 코가 이제 우리가 얼굴이 평평하지 않고 얼굴이 코가 있으니까 마스크를 쓸 때 코거를 눌러 주게 되있습니다 눌러서 고정하게 그래서 그렇게 고정을 시켜 주고 이렇게 교정을 하는데 마스크를 우리가 만져야 할 때가 있어요 벗거나 다시 쓸 때 그러면 여기는 외부로부터 다른 사람이 기침도 묻어 있고 그렇죠 비말이 묻어 있으니까 이게 묻어 있다는 가정하에 바이러스가 이거를 만지면 안 되고 제일 좋은 건 이 끈만 만지고 마스크를 벗는 건데 힘들면 마스크 중에서 이 4개의 모서리 있죠 맨 끝에 모서리 이 모서리만 잡고 해야 됩니다 왠만하면 실제로 우리 습관적으로 다섯 고정 하고 싶어서 또 이렇게 하는데 되게 안 좋은 겁니다 그리고 우리가 마스크는 우리나라 마스크가 상당히 좋은데 특히 KF 표시를 쓰죠 KF80 94 99가 있는데 보통 KF94 이상으로 쓰는 게 좋다고 되있지만 80도 괜찮습니다 왜냐면 KF94 의 기준이 뭐냐면 이 마스크가 비말을 막아 주는 그 필터의 간격이 0 6 ㎛이합니다 굉장히 촘촘하다는거죠 그런데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을 할 때 튀는 비말의 크기가 5㎛ 입니다 5㎛ 그러니까 거의 10분의 1 이하로 이제 그 10분의 1정도 되는 1/9, 1/10 정도 되는 그 미말 크기보다 더 작은 필터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통화를 못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마스크의 특징 좀 더 좋다고 말하는 이유는 전기장에 들어있어요 전기가 쉽게 말하면 정전기가 들어 있습니다 정전기가 들어 있어서 먼지를 좀 더 걸러 주는 효과가 있어요 그래서 그 대신 좋긴 좋지만 습기가 차면 우리 마스크 오래 쓰면 이렇게 한 1시간 정도 차고 있으면 좀 습해지죠 그래서 마스크는 웬만하면 형편이 좀 되면 오전 오후 한 번씩 새 걸로 써 주시고 최소한 하루에 새것을 하나 쓰는 게 좋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일단은 정전기 효과가 없어지고 그다음 우리가 아무래도 끝을 만진다고 하더라도 조금 있죠 누적이 되면 그만큼 더 많은 바이러스와 비말이 묻어 있으니까 이왕이면 바꿔 쓰는 게 훨씬 좋습니다 그래도 안 쓰는 거보다 더 좋다고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같은 마스크를 너무 오래 쓰면 오히려 안 쓰는 것보다 더 나쁠 수도 있어요 더 많은 누적된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조심해 가지고 생활해주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원형탈모 두피염 환자 분들은 좀 더 몸의 면역이 정상이 아니니까 좀 더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