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Shorts] 주요원자재 가격변동, 농업경영 안정을 위한 과제(feat.클로바더빙)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이슈플러스 #농업경영안정
지정학적 위험과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으로 농업경영 안정을 위해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이슈 플러스에서 알아볼까요? Q. 최근 주요 원자재 가격동향은 어떤가요? A. 원유, 옥수수, 비료 가격은 코로나 팬데믹 발생 이후 한동안 증가하였고, 특히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정점을 기록하였습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2022년 초중반에 2020년 1월 가격 대비 약 2배로 상승하기도 하였습니다. Q.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시 농업 부문 파급 영향은? A. 한국농업 경제 분석에 특화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국제 원자재 가격 인상은 경영비 증가로 이어져 농업소득 및 GDP 감소, 영농 규모 축소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 농업경영 안정을 위한 과제로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A. 원자재 가격 상승은 투입재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농가 경영비를 늘리고, 이는 농가단위의 농업소득 감소 및 경영 규모 축소로 이어질수 있어 농업부문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요 원자재 대상 조기경보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사전 대응 역량을 강화하며, 비축 물량 확대 및 수입선 다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외부 충격이 오더라도 농가의 경영비 부담이 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 수단을 활용하고 경영안정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