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이 뭔가요?"...'사각지대' 노숙인 돕는 사람들 / YTN](https://poortechguy.com/image/fJN5wXQd41g.webp)
"재난지원금이 뭔가요?"...'사각지대' 노숙인 돕는 사람들 / YTN
[앵커] 긴급 재난지원금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자신이 대상자인지조차도 모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오갈 데 없는 노숙인들인데요 지방자치단체에서 돕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도 남아 있습니다 김철희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노숙인을 보호하고 자립을 돕는 서울특별시립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오전부터 긴급 재난지원금 신청을 부탁하려는 노숙인들이 찾아왔습니다 "여기다가 이름이랑 사인 해주셔야 해요 " 이 시설에서는 신청서 작성부터 주민센터에 서류 접수까지 하나하나 직접 도와줍니다 [임종혁 /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사회복지사 : 신청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을 해드리고 그리고 신청서 작성하는 부분에 대해서 저희가 직접 도와드리고요 이 사실을 알게 되고 직접 찾아와서 신청하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노숙인 시설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 거리를 떠도는 노숙인들은 도움받을 생각조차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서기지원센터는 이들을 위해 야외 캠페인도 함께 벌이고 있습니다 서울역 등 노숙인이 많은 현장을 찾아가 지원금 신청 절차를 설명해주는 겁니다 "주민등록증도 재발급 해드리고 그러니까 코로나 검사만 받고 저희 쪽으로 오셔요 " 원하는 경우 그 자리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합니다 [김대영 /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사회복지사 : 신청 절차부터 주민센터 동행까지 저희가 하고 있고요 주민등록이 없으신 분, 그다음에 말소되신 분들 이런 분들 저희가 다 지원을 해서 같이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 여러 단체가 노숙인들을 돕고 있지만, 사각지대는 여전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거리 노숙인 가운데 정부의 재난지원금을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3 1%에 그쳤습니다 지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 수급률은 더 낮아 30%를 겨우 넘겼습니다 많은 노숙인이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현재 머무는 곳이 너무 멀어 신청할 수 없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청하기 어렵기도 하고, 지원금을 받아도 실거주지에서는 쓸 수 없다 보니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겁니다 이런 이유로 노숙인에 한해서라도 지원금 신청과 사용 기준을 현재 거주지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안형진 / 홈리스행동 활동가 : 노숙인 지원체계 활용해서 실제 노숙인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신청하고 그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거죠 ]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노숙인이 지원금을 바로 쓸 수 있도록 카드 포인트나 상품권 대신 현금을 지급하고, 휴대전화나 신분증 없이도 신청이 가능하도록 절차를 더 간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김철희입니다 YTN 김철희 (leejy@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온라인 제보]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