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달라졌다지만…비정규직 1년새 87만명 급증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기준 달라졌다지만…비정규직 1년새 87만명 급증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기준 달라졌다지만…비정규직 1년새 87만명 급증 [앵커] 지난 2년여 간 정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해 애를 써왔습니다 그런데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 비정규직이 급증했습니다 국제기준이 달라져 최대 50만명이 새로 비정규직으로 분류됐다는데, 이를 감안해도 큰 폭 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승국 기자입니다 [기자]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모두 748만여 명, 전체 임금 근로자의 36 4%를 차지했습니다 1년 전보다 무려 87만 7,000명 늘었고, 비중도 3 4%p나 커졌습니다 이례적으로 직접 브리핑에 나선 통계청장은 수치에 앞서 유의사항부터 설명했습니다 국제노동기구, ILO의 기준 개편으로 정규직이었던 35만 명에서 50만 명이 새로 비정규직으로 분류됐다는 겁니다 [강신욱 / 통계청장] "금년도 부가조사와 전년도 결과를 증감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하며, 증감 비교는 이용자 혼선을 야기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하지만 최대 50만 명이 새로 포함됐다 해도 비정규직이 최소 38만 명은 늘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지난해 증가 폭 3만 6,000명의 10배가 넘습니다 비정규직 급증에는 노인 일자리 등 정부 정책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정부의 직접 일자리 예산 참여인원이 월 8만 명 정도 되는데요 그분들이 비정규직으로 들어오면서 숫자가 많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 하지만 정부는 이번 통계만으로 비정규직이 급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용범 / 기획재정부 1차관] "조사 기법상의 특이요인 때문에 크게 튀는 통계를 가지고 정규직화 노력이 어디로 갔느냐 이렇게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 한편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172만 9,000원으로, 정규직 316만 5,000원의 55% 수준에 그쳤습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