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일자리사업]장애인고용,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인터뷰-강동구 장애인일자리사업 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일자리사업]장애인고용,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인터뷰-강동구 장애인일자리사업 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지원부 고용지원팀은 강동구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내 기관에서 일을 하고 있는 3명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함께 만난 사람들의 목소리를 전해드립니다 진행 : 전소양(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고용지원팀) 영상 : 박재훈(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기획협력팀) 강동구 장애인일자리사업 문의 : 02-440-5814(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고용지원팀) 00:20 강동구장애인일자리사업 소개 00:58 노미혜 님 인터뷰(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근무) 02:36 박은서 님 인터뷰(강동꿈드래마켓 2호점 근무) 03:40 전성희 님 인터뷰(암사1동주민센터 근무) 05:41 직무 개발 현황 등 전달 및 마무리 안녕하세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장애인 고용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소양 재활상담사입니다 제가 속한 고용지원팀은 ‘장애인의 보통의 삶 중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팀’이란 비전을 가지고 일하는 팀인데요 오늘은 여러분에게 복지관이 속한 강동구청과의 연계사업인 "강동구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강동구 장애인 일자리사업은 강동구청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복지관에서는 2015년부터 사업체 개발과 사후지원까지 함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사업은 복지 카드를 소유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장애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강동구 장애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모습을 영상으로 전하고자 합니다 그럼 실제 근무하는 현장 함께 보겠습니다 인터뷰1-노미혜(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근무) 복지관에서 하는 업무는 장애인 일자리 참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미혜라고 합니다 저는 녹음 도서 제작 분류 작업과 그리고 스캔 도서 수정 편집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들어야 하니까 녹음을 책을 읽어주는 녹음 봉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작을 하기 위해서는 책을 분류해야 해요 끊어주는 거 그래서 그 책을 분류할 수 있게끔 제가 작업을 하고 있고요 또 스캔 작업도 마찬가지로 책을 읽어주는 기계가 있는데 그걸 읽을 수 있는 스캔 작업을 수정 그러니까 낱말이 틀리거나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을 제가 수정, 편집하고 있습니다 일자리사업 참여 이후 삶의 변화가 있다면 배워야 하는 부분은 많죠 제가 여기서 필요한 사람이라는 게 너무너무 제가 보람이 있고요 저도 너무너무 감사하고 너무너무 좋아요 그리고 저녁에 누구 말처럼 집에만 있으면 오히려 취미 생활을 못하는데 직장생활을 하니까 퇴근하면서 취미생활도 할 수 있고요 오히려 더 부지런하다고 그럴까 그렇게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선생님들은 너무 저한테 잘해주시고, 맨 처음에 많이 겁이 났었어요 내가 일을 하지 못하면 어떡할까 주어진 임무가 이제 있는데 어떡할까 그러면서도 매일매일 제의 기도 제목이 '오늘 주어진 인을 잘하게 해달라고' 기도 하거든요 그런데 다행히 일을 잘하고 있어서 또 선생님들도 내년에도 와주셨으면 하니까 제가 너무 감사한 거예요 인터뷰2-박은서(강동꿈드래마켓 2호점) 안녕하세요 꿈드림마켓에 일하는 박은서입니다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고등학교 담임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셔서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꿈드래마켓에서 하는 일은 카페에서 판매하는 모든 음료 제조 및 포스 업무, 매장 청소와 정리 등을 하고 있습니다 일하면서 기분 좋을 때가 있다면 손님들이 제가 직접 만든 커피를 맛있다고 말씀하시고 약간 뿌듯하기도 하고 커피 만드는 것을 더 잘 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계획이 있다면 제가 여기서 일해 보니까 점장님께서 잘해 주시고 손님들도 커피 맛있다고 하니까 바리스타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점장님처럼 매니저가 되고 싶은 꿈이에요 인터뷰3-전성희(암사1동주민센터 근무) 강동구일자리사업 참여 계기는 강동구 일자리 소개로 암사동 주민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전성희라고 합니다 강동구청 사이트에서 강동구 장애인 일자리 상담을 통해서 이러한 일자리가 있다는 것을 소개받고 그다음에 신청해서 여기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주민센터에서 하는 일은 주로 민원인이 오셨을 때 해당 업무에 따른 담당 주무관 안내 업무를 맡고 있고요 그다음에 각종 증명서 발급하는 거 수급자분들이 오셨을 때 전기나 가스 등 할인 신청, 그리고 간혹 개인적인 업무를 어르신들이 도와달라고 하시는 게 있어요 예를 들면 연세가 높으신 분 중에는 한글이 제대로 안 되신 분들이 있어서 서류 쓰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하실 때 도와드린다거나 이런 업무를 주로 하고 있어요 일하면서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어떤 대가를 바라고 일을 하지는 않잖아요 그런데 이제 민원인 중에서는 고맙다며 여기 백조 세트나 필통 같은 것을 주면서 직접 본인이 종이 공예를 취미로 하시는 거래요 만들어서 주시는데 깜짝 놀랐거든요 진짜 이걸 받아서 써도 되나 싶어서 하는데 굳이 이렇게 만들어서 주시니까 감사하게 쓰고는 있어요 이런 식으로 소소하게 왔다 갔다 하시면서 사탕 같은 거를 주고 가신다든가 소소한 것들이 작게 감동이 오니까 일하면서 피곤해도 이런 일들로 피로도 싹 가고 굉장히 보람된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영상 잘 보셨나요? 영상에서 보셨다시피,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직무는 해당 배치된 곳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직무가 제한된 것이 아닌 기관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모두가 만족할 만한 직장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도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우리 구의 특성에 맞도록 지역사회 내의 수요조사를 진행, 인력이 필요한 사업체와 장애인 일자리 사업으로 확대될 수 있는 곳을 접촉하여 사업체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새로 강동구 내 기관을 대상으로 학교 내 사무보조, 청소년 프로그램 보조, 노인 식사 보조 직무 등을 개발하였습니다 장애인 당사자가 더욱 다양한 곳에서 일자리를 경험해볼 수 있고 소득을 보전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에서도 장애인 의무고용률 달성 또는 사회공헌의 파견 형식의 인력 충원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민간 기업에서도 아이티 관련 사무보조, 바리스타, 재택근무 등 장애인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것처럼 일자리 사업으로 참여하다 실제 해당 기관으로 취업이 연계될 수 있기에 강동구 내 장애인 고용에 관해서 관심이 있는 사업체가 있다면 고용지원팀으로 연락을 주시면 자세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강동구 내에도 더 다양하고 편견이 없는 장애인 고용이 이루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고맙습니다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재활 #강동구 #장애인고용 #장애인취업 #장애인일자리 #일자리사업 #고용부담금 #의무고용 #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꿈드래마켓 #암사1동주민센터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재활상담사 #재활상담사 #보통의삶 #장애인복지관 #복지관 #강동구장애인일자리사업 #사회복지 #사회복지영상 #복지영상 #장애인일자리사업 Homepage Blog Instagram kakaochannel Facebook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강동구 고덕로 201 (02-440-5700) 미션 : 보통의 삶을 실현하는 복지관 비전 : 서울형 장애인복지 모델을 실천하고 지원하는 복지관 설립:서울특별시(1982) | 운영법인 : 푸르메재단 우리는 누구나 힘이 되는 사람입니다 후원 문의 : 02-440-5715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