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나쁘면 안경 쓰듯이…" 장벽 없는 세상을 꿈꾸다 / SBS 8뉴스

"눈 나쁘면 안경 쓰듯이…" 장벽 없는 세상을 꿈꾸다 / SBS 8뉴스

〈앵커〉 오늘(20일) 장애인의 날 입니다 차별은 없이, 기회는 같이, 행복은 높이, 이런 마음이 SBS 뉴스에 더 잘 스며들도록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전합니다 이렇게 수어로 소통하는 청각장애와 달리, 소리를 조금은 들을 수 있는 분들을 '난청인'이라고 합니다 귀에 인공 달팽이관을 삽입하기도 하는데요 김민준 기자가 난청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만나서 어떤 점이 개선되면 좋을지 들어봤습니다 〈기자〉 4살까지는 여느 아이들처럼 평범했던 초등학교 3학년 재율이 높은 곳에서 떨어진 후 난청 판정을 받아 6년 전 인공 달팽이관을 삽입했습니다 [이지숙/한재율 군 어머니 : 한 2년 동안은 기계에 적응하려고 꽤 많이 노력했고 안 들리니까 막 귀를 때린다든지 아니면 불편해가지고 소리를 지른다든지… ] 1교시 음악 시간, 리코더를 불어도 재율이는 기계음으로 들립니다 수업 시간 제대로 듣지 못하는 것보다 더 큰 어려움은 주변의 따가운 시선입니다 어느 정도 듣고 말할 수 있어서 일반 학교에 다니는데, 난청을 잘 모르는 친구들 때문에 속이 상하기도 합니다 [한재율/난청 아동 : 애들이 그냥 '이거(인공 달팽이관) 뭐야'라고만 계속 물어보고 하더라고요 한 10명 넘게 물어봐가지고 ] 잘 듣지 못하다 보니 여러 오해를 감당하기 일쑤입니다 [이지숙/한재율 군 어머니 : 개그라는 게 그 한 단어에 웃길 때가 있잖아요 그런 걸 놓쳐서 본인만 안 웃고 있으니 이게 쌓이고 쌓이다 보면 얘한테는 말을 안 하게 되는 거죠 ] 많게는 2천만 원에 달하는 인공 달팽이관 비용도 부담입니다 19세 미만에 자기 부담 5%로 건강보험이 적용되기는 하지만 양쪽 70db 이상의 난청이 있어야 합니다 재율이처럼 기준에 조금이라도 못 미치면 비용의 80% 이상을 부담해야 합니다 전국에 3천300여 명으로 추산되는 난청 아이들,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리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정서 교육, 사회성 교육이 절실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지숙/한재율 군 어머니 :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들이랑 잘 어울려서 잘 컸으면 좋겠어요 눈이 나쁘면 안경을 쓰듯이 귀가 안 들려서 착용하는 기계니까 이상한 기계처럼 이렇게 주변에서 너무 쳐다보지 않았으면… ]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신세은, 화면제공 : 사랑의달팽이 유튜브) ▶ "장애인의 날 거부" 장애인단체, 1박 2일 도심 노숙 시위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8뉴스 #난청 #장애인의날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