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희귀 생물' 출몰까지... 급변하는 동해 미래는? / YTN

[자막뉴스] '희귀 생물' 출몰까지... 급변하는 동해 미래는? / YTN

2018년 동해안에서 잡힌 커다란 물고기 물 위로 잠시 모습을 드러냈을 뿐인데 크기가 상당합니다 검은 바탕에 하얀 점박이 무늬가 특징인 고래상어입니다 길이 8m, 무게는 3톤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포획 금지 희귀 생물인 만큼 어민은 바다로 돌려보냈습니다 "잘했어, 잘했어 " 고래상어는 본래 온대와 열대 바다에서 주로 서식하는데, 강원 동해안에 나타난 건 극히 이례적이었습니다 이후로도 동해안 수온은 조금씩 더 높아졌고, 지난여름엔 해파리떼 출몰로 이어졌습니다 부산, 울산에 이어 강원 동해안까지, 여름 해변은 해파리가 들끓었습니다 [해파리 목격 시민 / 울산 앞바다 (지난 7월) : 바닷물이 따뜻해졌다는 얘기잖아 ] 한낮은 물론 깜깜한 밤에도 해파리는 해변으로 밀려왔습니다 [해파리 목격 시민 / 강릉 앞바다 (지난 7월) : 꼬챙이 가지고 (해파리를) 끌고 나가면 돼 ] 곳곳에서 해파리 쏘임 사고가 이어졌는데,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불청객 상어 출몰 동해 연근해에서 그동안 보이지 않던 대형 상어 출몰이 잦아진 겁니다 지난 5월 속초 외옹치항 1 4㎞ 해상에서 몸길이 2 4m, 무게 150㎏ 악상어가 그물에 걸렸고, 4월에는 몸길이 3m에 가까운 대형 청상아리가 잡히기도 했습니다 자치단체마다 해수욕장에 상어 접근을 막는 그물을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안간힘을 써야 했습니다 [이선길 /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 동해안 쪽으로 이렇게 올라오는 난류성 어종들을 먹이 활동을 하기 위해서 먼바다에서 또 그 애들을 따라서 들어오지 않았을까 라고 지금 추정을 하고 있고 ] 최근 50년간 전 세계 해수온 평균 상승 온도는 0 52도였습니다 반면 한반도 연근 해역은 두 배가 넘는 1 44도가 올랐고, 특히 동해안은 이보다 높은 1 9도가 올랐습니다 파랑돔과 제비활치 등 열대 바다에 서식하는 어종이 동해안에 모습을 드러내고, 제주에서 주로 잡히던 방어는 이제 동해안이 주산지가 된 이유 뜨거워진 동해안, 해양생태계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촬영기자ㅣ홍도영 자막뉴스ㅣ최지혜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