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석 달 만에 다시 3%대…날씨·유가 영향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gvoxiokmaEk.webp)
물가상승률 석 달 만에 다시 3%대…날씨·유가 영향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물가상승률 석 달 만에 다시 3%대…날씨·유가 영향 [앵커] 진정되는 듯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엔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습니다 폭염, 폭우 등 날씨 요인과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서민들의 체감 물가 상황이 더 심각해질 전망입니다 박지운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 4%, 올해 들어 계속 둔화하며 지난 7월엔 최저를 기록했던 물가상승률이 석 달 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섰습니다 구입 빈도가 높은 생필품 중심의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3 9%로 더 높았고, 신선식품 물가도 5 6% 뛰었습니다 정부도 상승폭이 커질 것으론 예측했지만, 예상보다 더 높게 나온 겁니다 [김보경 / 통계청 경제동향 통계심의관] "국제 유가 상승과 전년도 하락 기저효과로 석유류 하락폭이 25 9% 하락에서 11 0% 하락으로 크게 축소됐고, 폭염·호우 등 불리한 기상 여건으로 농산물 상승폭이 확대됨에 따라… " 농축수산물이 작년 8월보다 2 7% 올랐는데, 특히 사과, 수박이 각각 30%·18% 오르는 등 일부 품목 가격이 크게 뛰었습니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전기·가스·수도요금은 21 1%의 높은 상승률을 이어갔습니다 한동안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던 서비스물가 상승률은 3%로 다소 둔화했지만, 외식물가는 5 3% 뛰며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정부는 국내 석유 가격 상승세가 8월 말부터 둔화하고 있고, 기상 여건이 나아지며 농산물값이 안정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병환 / 기획재정부 1차관] "국제 유가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은 유지되고 있으며,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면서 10월 이후부터는 물가가 다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지만, 당장 추석을 앞둔데다, 외식물가가 뛰고, 경기가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체감 물가 부담은 더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zwoonie@yna co kr)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청 #생활물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