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워치] 방중 우원식 의장, 시진핑 만나나…"APEC 계기로 방한 기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hNlKQTNVu00.webp)
[차이나워치] 방중 우원식 의장, 시진핑 만나나…"APEC 계기로 방한 기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차이나워치] 방중 우원식 의장, 시진핑 만나나…"APEC 계기로 방한 기대" [앵커] 우원식 국회의장이 4박 5일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찾았습니다 시진핑 주석과의 만남도 추진한다는데요 베이징 연결합니다 배삼진 특파원 우 의장이 시 주석을 만났나요? [기자] 예, 중국 방문 사흘째인 우원식 국회의장은 태국 총리와 브루나이 국왕, 파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을 잇따라 만납니다 아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만남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우 의장은 어제 베이징 특파원 간담회에서 시 주석 접견 시 전달할 내용을 소개했는데요 올가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 의장은 올해 APEC 정상회의를 대한민국의 회복력과 굳건한 경제 시스템을 세계에 확인시키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한국에 이어 내년에 중국에서 APEC이 개최되는 만큼 한중관계 발전에 시 주석 방한의 의미가 크다는 얘기입니다 앞서 중국 공식서열 3위인 자오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는 현재 한국이 전혀 불안정하지 않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자오 위원장은 "한중은 중요한 이웃"이라고 말하며 "함께 디커플링을 막자"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오늘부터 8일간 중국에서 동계아시안게임이 시작됐습니다 역대 가장 많은 34개국 1,300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는데, 중국이 외교 보폭을 확대하는 자리로 활용하고 있다고요 [기자] 예, 제 9회 동계아시안게임이 중국 하얼빈에서 개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중국에서 열리는 첫 국제행사에서 중국은 외교 무대에서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데요 시진핑 주석은 일대일로 국가인 태국과 부르나이, 파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정상을 초청했습니다 이들의 방문에 전문가들은 전략적으로 주도권을 잡아가는 데 유익한 계기라고 평가했습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양국은 상호 존중과 평등한 대우를 견지합니다 진심으로 신뢰하고 서로 돕습니다 시종일관 상대를 굳건히 지지합니다 " 최근 미국은 대외원조 기구인 국제개발처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기로 했죠 중국 내에서는 현대판 육해상 실크로드로 인프라 원조사업인 '일대일로'가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분석이 잇따랐습니다 2기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전쟁에 돌입한 상황에서 '일대일로' 내의 개발도상국가들을 대거 우군으로 확보할 기회로 보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연합 집행위원장까지 중국과의 무역관계를 심화해 합의점을 찾겠다고 밝히면서 중국은 화색이 돌고 있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상호 신뢰를 높이고, 협력을 확대하며, 차이점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글로벌 도전에 공동으로 대응해 중국-EU 관계를 더욱 촉진하고 개선하며 세계에 더 큰 안정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10% 보편관세 부과에 최대 15%의 맞불 관세를 예고한 중국의 시행 시한이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는데, 미중 간 대화와 협력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건가요? [기자] 오는 10일까지 사흘 남았는데, 미중 간 물밑 접촉이 있을 것이란 관측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당초 이번 주 내로 있을 것으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통화는 기약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에 대해 "서두르지 않고 적절한 때에 하겠다"며 말을 바꿨는데요 중국은 석유와 천연가스 등에 10~15%의 관세를 부과하고, 텅스텐 등 희소자원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내렸죠 실질적인 제재 효과가 없어서 천둥소리만 요란했다는 시각도 있는데요 씨티그룹에 따르면 새 관세는 140억 달러, 20조3천억 원 규모의 상품이 타깃인데, 재작년 기준 미 수입품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입니다 중국이 구글 등 빅테크 기업까지 조사하겠다며 협상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는데 미국의 반응은 미지근합니다 중국이 트럼프 1기 당시 합의한 '1차 무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