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상륙 앞두고 산사태 대비 분주…우려 여전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태풍 상륙 앞두고 산사태 대비 분주…우려 여전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태풍 상륙 앞두고 산사태 대비 분주…우려 여전 [앵커] 강한 비바람을 몰고올 태풍 '바비'가 북상하면서 곳곳에서 산사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지자체에선 이에 대한 대비로 분주한 모습인데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곽준영 기자입니다. [기자] 인부들이 무성하게 자란 잡초들을 제거합니다. 수로 안쪽으로 넘어온 나뭇가지들을 쳐내는 작업도 이어집니다. 9년 전 시민의 목숨까지 앗아갔던 산사태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우면산의 사방댐 점검이 한창입니다. [김천룡 / 우면산 관리반장] "태풍 상륙을 앞두고 배수구가 막히면 산사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 조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관할 구청에선 산사태 관련 긴급 대책회의도 열렸습니다. [임성은 / 서초구청 공원녹지과장] "바비가 작년 링링하고 같은 코스예요. 작년 링링 같은 경우는 바람이 낮에 왔고 이번에는 밤에 올 것 같아요." 일부 지자체들이 대비에 나서고 있지만 산사태 위험은 여전히 곳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곽준영 기자] "지금 제 우측으로는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분류된 한 야산이 있습니다. 이 골목길을 하나 사이에 두고 10m도 채 되지 않는 거리에는 주민들이 살고 있는 아파트도 들어서 있습니다." [지역 주민] "조금 공포감도 들고 그렇죠. 산사태가 날 수도 있고 해서…" 전국에서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2만6천여 곳,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서울도 330여 곳이나 됩니다. 특히 이달 초 내린 폭우로 서울의 10개 자치구에는 산사태 주의보가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집중호우로 지반이 약해진 지역에 강한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 산사태 가능성이 커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 (kwak_ka@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