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운지] "챗GPT 활용해 리포트 쓰세요"...생성형 AI가 가져올 변화는? / YTN

[뉴스라운지] "챗GPT 활용해 리포트 쓰세요"...생성형 AI가 가져올 변화는? / YTN

■ 진행 : 함형건 앵커 ■ 출연 : 차경진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운지]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 사회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큰 흐름을 짚어보고 미래를 조망해 보는 '비전 카페' 순서입니다 오늘은 발전하고 있는 AI가 실제 우리 교육 현장과 기업에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고 또 어떤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지 차경진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생성형 AI 열풍이 불면서 특히 대학 수업에는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그런 얘기를 먼저 해 볼까 하는데요 교수님마다 입장은 조금씩 다르실 텐데 차 교수님께서는 AI, 생성형 AI, 챗GPT 같은 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입장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새 학기에도 그런 식으로 수업을 이끌어가실 계획이시죠? [차경진] 네, 맞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대학원 논문수업이나 이런 데서도 새로운 연구주제를 가졌을 때 과거에는 선행 연구를 찾아보고 이것들 조사하고 요약하는 과정이 한 일주일 정도 걸렸다고 하면 바로 그 자리에서 새로운 주제에 대해서 논문을 생성하고 실제 우리가 논문을 읽고 해야 하지만 빠르게 요약해서 우리가 지금 기회의 포인트가 어디 있는지를 빠르게 찾게 하거나 아니면 과제를 내줄 때에도 생성형 AI가 좋은 샘플의 논문을 보여줍니다 그러면서 실제 얼마나 표면적으로 생성 AI가 논문을 쓰고 있는지, 그것을 크리티컬 리뷰를 하면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런 것들을 하는 것이죠 그런데 이걸 해 보다 보니까 처음에는 있지도 않은 논문을 보여주기도 하는, 거짓된 논문을 보여주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저희가 그건 어떻게 해결을 했냐면 실제 프롬포트에 해당 아카이브 디비를 연결을 해서 있는 논문 안에서만 생성형 AI가 뱉어내게 하는 것들을 통해서 해결하기도 했었고요 사실 연구자들 간에 서로 다른 견해나 이런 것들을 빠르게 파악하고 더 질 놓은 논문을 쓰는 데 있어서 생성형 AI가 저희는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앵커] 지금 말씀하신 걸 들어보면 이를테면 논문 수업은 대학원 수업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논문을 쓰는 논문 세미나 이런 강의에서도 생성형 AI, 챗GPT로 만든 논문을 제시하고 이것을 모델로 해서 참고해서 어떻게 더 발전시킬 건가 고민해 봐라 이렇게 말씀하신다는 얘기죠? [차경진] 그렇습니다 이 정도가 과제 수준의 60~70% 수준의 표면적인 논문인데 우리가 더 발전시키려면 많은 논문과 이론을 알아야만 크리티컬 리뷰를 할 수 있고 실제 이게 얼마나 표면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사실 학생들한테 보여주고 싶었던 건 우리가 좋은 논문을 많이 읽고 많은 이론을 알고 있어야만 실제 더 질 놓은 논문을 생성형 AI을 활용해서 쓸 수 있다를 보여주고 싶어서 첫 시간부터 이렇게 생성형 AI로 논문을 빠르게 찾고 핵심 시드 논문을 찾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앵커] 절대로 리포트나 논문을 AI가 대신 써주게 하는 건 아니고 자료 수집이라든가 아이디어라든가 기획을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고요 [차경진] 맞습니다 논문에 그림과 기획과, 처음에 그림을 잘 그리는 데 있어서 쓰고요 이것을 어떻게 더하고 빼고 표면적인 것들보다 더 딥다이브 할 수 있는지, 더 로디컬 씽킹을 하는 데 있어서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좋은 연구원 하나를 옆에 두고 내가 논문을 쓰는구나, 이런 느낌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