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검사키트 시범 도입 필요” vs “검사키트 활용으로 방역조치 완화는 불가” / KBS 2021.04.14.](https://poortechguy.com/image/i8sFUvE8WNw.webp)
“자가검사키트 시범 도입 필요” vs “검사키트 활용으로 방역조치 완화는 불가” / KBS 2021.04.14.
[앵커] 서울시가 앞서 자가검사키트 사용을 허가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자가검사키트 도입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어제 국무회의에서도 공방이 이어졌는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업장 입장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방역당국은 검사키트 활용으로 다중이용시설의 방역조치를 완화하는 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양민철 기자가 자가검사키트 도입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국무회의에 처음 참석한 오세훈 시장, 다중이용시설 입장에 자가검사키트 시범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자가검사키트로) 그 장소에 입장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건데요 그렇기 때문에 더군다나 필요하다는 겁니다 "]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허가된 자가검사키트는 없습니다 해외 일부 국가에서 자가검사용 승인을 받아 수출하는 국내 업체들도 있지만, 이 키트들도 원래는 자가검사용이 아닌 전문가용 제품입니다 여기에다 대부분 자가검사키트에 사용되는 신속항원검사는, 기존의 유전자 증폭 검사, 즉 PCR 검사보다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PCR 검사와 신속 항원검사 제품의 진단능력을 비교한 결과, 확진 환자를 양성으로 제대로 진단하는 비율인 '민감도'가 신속항원검사는 PCR 검사의 17 5%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감도가 낮으면 실제 감염 환자가 '음성' 판정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전문가들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엄중식/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민감도가 높아야지만, 선별검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가 있거든요 위음성(가짜 음성) 결과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걸러내는 실효성도 없고 비용 효과적이지 않다… "] 방역당국은 자가검사키트 도입은 검토한다면서도,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 등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상원/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 "자가검사키트 사용을 전제로 한 유흥업소 등에 대한 방역수칙 완화는 어렵다는 취지입니다 "] 하지만 서울시는 외국에서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다음 주부터 협의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용태/그래픽:고석훈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