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추적] 한미 키리졸브·독수리 훈련 역사 속으로](https://poortechguy.com/image/iF7GmUwVBDQ.webp)
[뉴스추적] 한미 키리졸브·독수리 훈련 역사 속으로
【 앵커멘트 】 한미 양국이 펼치는 대규모 군사훈련, 그 중에서도 독수리훈련은 그 역사가 무려 40여 년에 달합니다 한반도에 평화가 와서 군사훈련이 사라진다면 그야말로 환영할 만한 일인데,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상황에서 일부에서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부 김근희 기자와 뉴스추적에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질문 1 】 이번에 사라지게 된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하나는 연습이고 하나는 훈련인데 서로 성격이 다른 거죠? 【 기자 】 통상 상반기에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그리고 하반기에 있는 UFG 연습을 3대 한미 연합훈련이라고 부르는데요 키리졸브와 UFG 같은 이른바 지휘소 연습은 가상의 상황에 맞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일종의 워게임입니다 반면 독수리 훈련은 실제로 병력과 장비가 투입돼 움직이는 이른바 실기동 훈련입니다 키리졸브 연습은 1976년에 시작된 팀스피릿이 전신이고, 독수리 훈련은 1961년부터 시작됐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한미 연합훈련인만큼 북한은 매년 이 훈련들이 있을 때마다 언제든 실전으로 넘어갈 수 있다며 민감하게 반응해왔습니다 이런 키리졸브와 독수리 훈련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것 자체가 북한과 계속 대화하자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는 거죠 【 질문 2 】 한미가 북한과 대화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말그대로 결단을 내린 것 같은데요 그런데 앞서 기사에서 본 것처럼 일각에서는 이번 결정에 대해 우려의 시각도 나옵니다 【 기자 】 통상 키리졸브는 방어 연습인 1부와 반격 연습인 2부로 일주일씩 나눠지는데요 올해는 방어 연습인 1부에만 집중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해 북미 1차 정상회담의 결과로 UFG까지 유예됐기 때문에 과연 이같은 지휘소 연습 없이 한미 군의 손발이 잘 맞을 수 있을지 우려의 시각도 나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에는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비질런트 에이스도 유예됐고, 한미 해병대의 케이맵 훈련의 횟수가 축소됐는데요 다만 꼭 정해진 훈련 기간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 군은 새로 마련된 연합연습과 훈련을 통해서도 굳건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질문 3 】 혹시 북미 회담 말고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연관된 것 아닌가요?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한미 연합훈련의 비용 문제를 계속 거론했잖아요 【 기자 】 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2차 정상회담 결렬 직후 기자회견에서도 이같은 내용을 다시 한번 언급했는데요 함께 들어보겠습니다 ▶ 인터뷰 :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군사훈련은 꽤 오래전에 포기했습니다 한 번 할 때마다 1억 달러씩 들기 때문입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또 여유로운 부자 나라를 위해 많은 돈을 쓰는 일은 보기 싫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이 단순히 북미 협상 유지용만이 아니라 추후 방위비 분담금 협상까지 염두해뒀을 가능성도 나옵니다 【 질문 4 】 그런데 하나 궁금한 것이 지난번에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인상했잖아요 그런데 훈련을 축소한다고 하니까 우리로서는 좀 억울하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 기자 】 흔히 착각하는게 방위비 분담금의 대부분이 마치 전략자산 전개 비용이나 연합훈련 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사실 방위비 분담금의 원래 개념은 주한미군 주둔에 필요한 비용을 분담하는 겁니다 실제 2018년 방위비 분담금을 보면 46%가 군사건설비, 39%가 인건비로 이번 인상에서 오른 건 주로 이런 건설비와 인건비 차원인거죠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키리졸브나 UFG 연습 비용 등은 미측이 상당 부분을 부담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기자회견에서 여전히 연합훈련 비용 문제를 놓고 불만을 표한겁니다 이 때문에 미국이 추후에 이 비용을 분담금에 포함시키지 않는다면 다른 연합훈련이나 전략자산 전개를 축소하겠다며 우리측을 압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 앵커멘트 】 2차 정상회담 결렬에도 한미가 대표적인 연합훈련을 축소하며 대화의 뜻을 표한만큼 북측이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이 같은 과정이 한미 동맹에는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정치부 김근희 기자였습니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