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45%가 등록금 올렸다...14년 동결 기조 '균열' / YTN](https://poortechguy.com/image/iKvKJwjGwv0.webp)
대학 45%가 등록금 올렸다...14년 동결 기조 '균열' / YTN
[앵커] 올해 4년제 대학 10곳 가운데 네 곳 이상이 등록금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가가 너무 오르고 학생 수는 급감한 탓인데 2009년부터 14년간 유지돼 온 등록금 동결 기조에 균열이 가고 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해마다 대학가를 달구던 등록금 투쟁이 없어진 지 10여 년이 지난 올해 국내 4년제 대학 193곳 중 45% 가까운 86개 대학이 등록금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69개 대학은 학부 등록금은 동결한 채 대학원이나 정원 외 외국인 등록금만 올렸지만, 17개 대학은 14년간 동결됐던 학부 등록금을 전격 인상했습니다 이 중 10곳은 법적 인상 상한선에 육박한 4% 인상을 결정해, 한 학기당 학부 평균 30만 원 의학계열은 50만 원 넘게 더 내야 합니다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상한 건 높은 물가 때문 정부는 앞서 2012년부터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국가장학금Ⅱ 유형 지원금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등록금을 통제해 왔는데 올해는 물가가 너무 뛰다 보니, 지원액보다 물가인상률에 맞춰 등록금을 올리는 쪽의 수익이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대학의 재정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점도 문제입니다 [임은희 /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국립 대학은) 학생 1인당 교육비를 따지면 서울권에 있는 대학들보다 못 미치거든요 그런 것처럼 국립대학이라고 하지만 정부 재정 지원이 적고 그래서 이제 교대 같은 경우에 이번에 인상 쪽으로 좀 가닥을 잡은 것 같아요 ] 내년 상황은 더 심각할 전망입니다 내년도 등록금 인상률의 근거가 되는 2021년부터 2023년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5 5% 이상 오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2년 연속 등록금을 올릴 경우 2년 만에 10% 가까운 인상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정부도 대학 구조조정과 함께 선별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물가가 갑작스레 치솟은 만큼, 재정지원을 확대해 교육비 충격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영상편집;김민경 그래픽;이은선 YTN 김현아 (kimhaha@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