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진정한 사과가 우선"...한일 '위안부' 합의 3주년 / YTN](https://poortechguy.com/image/iQ-74_mZu2E.webp)
"일본의 진정한 사과가 우선"...한일 '위안부' 합의 3주년 / YTN
[앵커] 박근혜 정부가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맺은 지 어제(28일)로 만 3년이 됐습니다 시민 단체들은 당시 합의는 무효라며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함께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올해만 8명의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이제 피해 생존자는 25명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남겨진 숙제, 김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는 일본과 10억 엔의 보상을 골자로 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맺었습니다 [윤병세 / 前 외교부장관 : 한국 정부는 이번에 일본 정부의 분명한 조치가 착실히 진행되는 걸 전제로 ] 이듬해 6월, 정부는 일본이 출연한 10억 엔으로 여성가족부 산하에 화해 치유재단을 설립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피해자를 고려하지 않은 정부 조치에 즉각 반대했고, 학생들은 일본 대사관 앞에 농성장까지 만들었습니다 평화의 소녀상 옆에 세워진 이 농성장은 대학생들이 365일 24시간 지키고 있습니다 3년 가까운 투쟁 결과, 정부는 지난달 화해 치유재산 해산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피해자를 배제한 한일 합의 자체를 정부가 직접 파기할 때까지 철야 농성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전가람 / 소녀상농성공동행동 대표 : 반드시 한일 합의 폐기가 될 때까지 농성을 굴함 없이 진행하고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완전한 해결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된 정세까지 우리가 이곳에서 투쟁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위안부 문제 해결을 바라며 천3백여 회가 넘는 수요집회를 이어온 정의기억연대도 한일 합의 3주년을 맞아 거리로 나왔습니다 이들은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문제만큼은 국익이 아닌 피해자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윤미향 / 정의기억연대 대표 : 화해 치유재단 해산을 선언하겠다고 방침을 밝혔는데 그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해산 절차 조속히 실행해야 하고요 올해 예비비로 마련된 10억 엔 반환해야 합니다 ] 일본의 사과도 받지 못하고 올 한해에만 모두 8분의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제 남아 있는 등록된 생존 위안부 피해자는 25명, 새해에도 이들이 원하는 건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와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입니다 [이옥선 / 일본 성노예 피해자 할머니 : 공식사죄 받고 법적 배상을 받아야 되는데 그것밖에 우리는 생각하는게 없거든 ] YTN 김우준[kimwj0222@ytn co kr]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