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통보"...정부 "공평 분담에 최선" / YTN](https://poortechguy.com/image/ii3wRAJPPA4.webp)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통보"...정부 "공평 분담에 최선" / YTN
주한미군"방위비 협상 미 타결시 오는 4월부터 무급휴직" 미, 규정 따른 통보…분담금 증액 압박 분석도 정은보 "합리적이고 공평한 분담금 도출에 최선" [앵커] 주한미군이 방위비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한국인 근로자들에게 오는 4월부터 무급휴직이 시작될 것이라고 통보했습니다 협상을 총괄하는 우리 측 정은보 대사는 협상 지연에 유감을 표하며, 공평한 방위비 분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문경기자! 주한미군이 어떤 입장을 내놓은 겁니까? [기자] 주한미군 사령부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내용인데요 방위비 분담금 협정의 공백 사태가 지속돼, 예산이 고갈돼 가고 있다며 한국인 근로자의 무급휴직을 통보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방위비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한 달 뒤인 오는 4월 1일부터 무급휴직이 시작되는데요 주한미군에는 현재 9천여 명의 우리 국민이 일하고 있고, 이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은 지난해 기준으로 약 5천억 원 가량입니다 주한미군의 이 같은 조치는 무급휴직 30일 전에 사전 통보하도록 돼 있는 규정을 따른 것이지만, 우리 정부에 분담금 증액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앞서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한국의 분담금 증액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혀 협상이 여전히 평행선을 긋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앵커] 이와 관련해 우리 측 대표가 유감의 뜻을 나타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우리 측 대표인 정은보 대사는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고 송구스럽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협상을 하자는 우리 측의 거듭된 제안에도 회의가 지연되고 있다며 유감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또, 한미동맹이나 연합방위 태세에 비춰볼 때 무급휴직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은 한미가 함께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인 뒤, 협상 타결이 지연될 경우에 대비해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지급 문제의 우선 해결을 위한 각서 체결을 미 측에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정 대사는 이와 함께 무급 휴직 없는 협상을 위해 국회 비준 동의를 2번 받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며, 합리적이고 공평한 방위비 분담에 조속히 합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문경(mkkim@ytn co kr)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social@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