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주록] 난세에 태어나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덕혜옹주(德惠翁主)

[조선공주록] 난세에 태어나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덕혜옹주(德惠翁主)

#조선공주록 #덕혜옹주 #고종 #복녕당 #귀인_양씨 #의친왕 #영친왕 #순종 #변복동상궁 #준명당 #몽유병 #조현병 #소_다케유키 #이방자 #마사에 #정신병원 #박정희 #낙선재 #왕조의_세월 #이주경 #윤석화 #이혜숙 #무지개를_이은_왕비 #이예림 #이홍 #권비영 #문혜영 #크레용팝_초아 #손예진 덕혜옹주(德惠翁主)는 고종의 고명딸로 순종, 의친왕, 영친왕의 이복 여동생인데 생모는 복녕당(福寧堂) 귀인 양씨입니다 양씨는 본래 궁녀였다가 승은을 입어 덕혜옹주를 낳고 후궁이 되었는데 친정 오빠는 백정으로 조선에서 가장 미천한 신분이었으나, 여동생 덕분에 관복을 입고 궐에 출입하는 귀한 신분으로 벼락 출세를 했습니다 ‘덕혜(德惠)’는 1921년에 이복오빠 순종이 내려준 작호인데, 그 이전에 따로 이름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한국 측의 기록에는 그냥 ‘아기씨’, ‘복녕당 아기’, 일본 측의 기록에는 ‘姬(ひめ, 아가씨)’로만 되어 있어 훗날 대한민국 호적에도 ‘이덕혜(李德惠)’가 성명으로 올라갔습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덕혜옹주는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에 태어나 엄밀히 말하면 대한제국의 황녀였던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대한제국 또는 조선의 마지막 황녀라는 타이틀은 사실 틀린 셈으로 대한제국에는 황녀가 없었고, 조선의 마지막 왕녀는 철종의 외동딸인 영혜옹주였습니다 한일합방후 고종에게는 이태왕, 황제 순종에게는 이왕이라는 일본식 작위가 내려졌고 황실 업무를 총괄하던 관청 궁내부는 이왕직으로 격하되었으며 정비를 뺀 모든 후궁들의 작위는 사라졌습니다 당시 고종은 명성황후를 잃고 후궁 엄씨에게 정을 붙이며 살고 있었는데 일제가 후궁들의 작위를 박탈하는 바람에 엄씨는 그저 평범한 여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고종은 명성황후에 대한 의리 때문에 엄씨를 후궁으로 남겨 놓고 있었는데, 그것마저 지켜주지 못해 미안했지만 1911년 7월 엄씨가 장티푸스로 세상을 떠나버립니다 상실감이 컸던 고종은 이후 궁녀들과 자주 어울렸고 여러 궁녀가 고종의 승은을 입었는데 그중 특히 고종의 사랑을 많이 받은 양씨는 가장 먼저 고종의 딸을 낳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