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업무보고 분석 ①] 국방혁신4.0의 핵심동력 국방AI](https://poortechguy.com/image/jQqdBVGQOJU.webp)
[국방부 업무보고 분석 ①] 국방혁신4.0의 핵심동력 국방AI
[국방뉴스] 2022 07 26 [국방부 업무보고 분석 ①] 국방혁신4 0의 핵심동력 국방AI 지난 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국방부는 국방AI 발전모델을 정립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첨단과학기술군을 육성하는 국방혁신4 0의 핵심 추진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구상이고 어떻게 추진되는지 오상현 기자가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 국방부는 이번 업무보고에서 AI 기술을 우리 군에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단계는 구분했습니다 1단계인 초기자율형은 AI기술이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입니다 상용위성과 군사위성, 유무인 정찰기 등에서 다양한 영상을 실시간, 전천후로 수집하고 이를 통합 분석해서 공유하는 AI기반의 다출처 영상융합체계와 GOP와 해안 경계체계를 발전시키는 단계입니다 2단계는 인식지능에 판단지능이 더해지는 전투체계 적용 단곕니다 무인전투차량과 수상정 등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발전시키겠다는 겁니다 3단계는 완전자율형으로 지능형 지휘결심지원체계와 초연결 전투체계가 구현되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민간의 혁신적인 AI기술을 군에 보다 빨리 적용시키기 위해 각 군별로 시범부대를 운영합니다 해군은 5전단을 시범부대로 지정해 소해함을 유인으로 기뢰탐색과 처리는 무인체계를 적용합니다 공군은 20전투비행단에서 유무인 편대기를 혼합 운용하고 해병대 1사단에서는 상륙돌격장갑차와 장애물 개척로봇을 함께 운용해 그 능력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군의 노력을 통합하기 위해 국방부는 민간전문가를 센터장으로 하는 국방AI센터를 오는 2024년까지 창설하기로 했습니다 소요기획과 총괄, 획득관리, 플랫폼 관리, 디지털혁신 서비스, 데이터관리/분석 등 5개 팀 100여 명으로 인력을 구성할 계획입니다 나아가 현재 국방R&D 예산의 2% 수준, 지난해 기준으로 약 800억 원인 국방AI 연구개발예산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민간 AI대학원과 협업해 향후 5년간 전문인력 1,000여 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뉴스 오상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