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철책 통해 1명 월북"...軍, 3시간 동안 몰라 / YTN

"강원도 철책 통해 1명 월북"...軍, 3시간 동안 몰라 / YTN

합참 "대북통지문 발송…북한군 특이동향 없어" 합참 "신원 특정할 수 없어…생사 확인 안 돼" 합참 "GOP 철책 넘는 CCTV 영상 뒤늦게 확인" [앵커] 새해 첫날인 어젯밤 강원도 최전방 동부전선에서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1명이 군사분계선 철책을 넘어 월북했습니다 이에 앞서 월북자가 GOP 철책을 넘는 모습이 감시 장비에 포착됐지만, 군 당국은 3시간가량 이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한연희 기자! [기자] 네, 국방부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새해 첫날부터 월북 사건이 발생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어제 강원도 최전방 동부전선에서 우리 국민으로 추정되는 1명이 월북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어젯밤 9시 20분쯤, 동부지역 DMZ 내에서 미상 인원 1명을 감시 장비로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신병확보를 위해 작전 병력을 투입해 작전을 수행했지만, 밤 10시 40분쯤 이 사람이 군사분계선, MDL을 넘어 월북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늘 아침 월북한 사람의 안전 보장을 촉구하는 내용의 통지문을 북한에 발송했다면서, 현재까지 북한군 특이동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영상 감시 장비를 통해 확인한 만큼, 아직 월북자의 신원은 특정할 수 없는 상황이고 생사 역시 현재까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합참 관계자는 사건 발생 이후 상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어제저녁 6시 40분쯤, 미상 인원 1명이 GOP 철책을 넘는 영상이 CCTV에 찍혀있는 것도 뒤늦게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DMZ에서 최초로 포착된 시점보다 3시간 빨리 GOP 철책을 넘는 모습이 CCTV에 찍혔지만, 당시 감시병이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이후에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야 확인했다는 건데요 합참 관계자도 초동 조치 과정에서 더 적극적으로 확인했다면 하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며,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합참 전비태세검열실 요원들을 현장에 급파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월북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작년과 재작년 연달아 귀순 사건이 발생한 부대와 같은 곳이기도 합니다 지난해 2월에는 이른바 '오리발' 귀순이 발생했고 이보다 3개월 앞선 2020년 11월에도 북한 남성이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한 것을 뒤늦게 인지해 질타를 받았었는데요 그런 만큼 이번에도 경계가 느슨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한연희입니다 YTN 한연희 (hyheee@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