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기초연구 계획 확정…어떤 연구 이루어지나? / YTN 사이언스
[YTN사이언스] 올해 기초연구 계획 확정…어떤 연구 이루어지나? ■ 김상선 / 한양대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앵커] 지난 화요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가 열렸습니다 어떤 내용들이 중점적으로 논의되고 심의, 의결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양대학교 김상선 교수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국과심 운영위원회에서는 어떤 내용들이 논의되었는지요? [인터뷰] 잘 아시다시피 국가과학기술심의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있고요 그 아래 운영위원회가 있어요 미래부 1차관이 위원장이고 산하에 분야별 전문위원회와 특별위원회 등으로 구성,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운영위원회에서는 주로 정부 주요계획에 대한 금년도 시행계획, 그러니까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농업 생명공학육성 중장기기본계획,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이런 계획들에 대해서 매년 지난해 실적을 점검하고 올해 시행계획을 심의하게 돼 있는데, 이런 시행계획들이 중점적으로 논의되고 심의, 의결되었습니다 이외에도 대형가속기 운영체제 개선방안, 국가연구기관에 대한 성과평가 결과, 그리고 금년도 국과심 운영계획 등의 안건들이 논의되었습니다 [앵커] 여러 가지 안건들이 중요하겠지만, 기초연구가 신경 쓰이네요 종합계획도 막바지잖아요 [인터뷰] 그렇죠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요 지금 운영하는 것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그러니까 금년도가 마지막 해죠 2017년의 마지막 시행계획이 이번에 심의가 됐는데요 올해 시행계획 중 몇 가지만 소개해드리면 첫째, 투자 규모인데요 올해 기초연구비 투자비중을 확대하여 금년도 예산이 19조 5천억 원인데요 그중에서 건설비 등을 뺀 나머지가 13조 6천억 원입니다 그중에서 기초연구비에 투자되느냐, 올해 목표가 40%였어요 그래서 이번 통계에 따르면 40 2%까지 지원할 계획이어서 애초 목표보다 조금 높게 돼 있고요 그 40 2%라는 것이 10개 부, 처, 청에서 총 3조 7,484억 원 정도가 기초연구에 쓰인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둘째, 전 학문 분야를 지원하는 기반이 되는 기초연구사업을 1조 2,600억 원이 쓰이게 되는데, 1조 원 이상 쓰이는 돈이 주로 연구자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