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흡수+멸종 위기 터전 해초지·염습지 복원

탄소 흡수+멸종 위기 터전 해초지·염습지 복원

해양생물의 중요 서식지 중  하나인  해초지와 염습지 해초들이  자라 나는 땅이자,  바닷물이  드나들어  염분 변화가  큰 습지를 말하는데요 해초지와 염습지는 해양 생물의 터전임과 동시에  탄소 흡수 능력도  탁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연안 개발로  많이 사라지고 훼손된 해초지와 염습지  복원에 나섭니다 그 규모만 해초지는  21만 5천㎡, 염습지  1만 5천㎡로  축구장 32개  넓이에 달하는데요 복원 대상지는  다도해와  한려 등  해상국립공원  15곳의 해초지  포함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기지포와  바람아래해변 등  9곳의 염습지입니다 이곳의  탄소 흡수  능력을  감안하면 연간 약  250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정부는  2016년 부터 해양탄소흡수원  복원사업을  진행에 오고  있는데, 복원지역과  복원이 안 된 지역의  해양생물  출현종수를  비교했더니 무려 3배 가까이 차이가 났고  특히  흰발농게와  갯게 등 멸종위기 종의 서식지도 늘어났다고 합니다 공기도 맑히고, 사라져 가는 야생 생물들의 보금자리를 만드는 해양탄소흡수원  복원사업 앞으로도  쭉 이어져  나가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S&NEWS였습니다 #이리나기자 #해초지복원 #염습지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