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 삼가|코로나19 예방접종 특집 질병관리청 브리핑 (21.8.26.)
✔이상반응 대비 예방접종 후 15~30분 정도 접종기관에 머물러야 ▪️청장년층 사망자 41명 전체 사망자의 1 8% 수준 ✔20~40대 위중증 환자 발생 비중 55 8% ▪️18~49세 접종 후 신고 사례는 근육통, 두통 🔎발표 전문 8월 26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예방접종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8월 26일 기준으로 1차 접종을 완료하신 분은 2,700만여분으로 52 7%가 1차 접종을 완료하셨습니다 접종완료자는 전 국민의 26%가 완료를 하셨습니다 연령대별로 인구 대비 접종률을 보면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가 92 5%로 가장 높았고, 70대가 92 1% 그리고 50대가 83 8% 순으로 접종률이 높았습니다 18~49세 청장년층은 기존에 우선접종 대상군과 잔여백신 등을 통하여 814만 명이 이미 접종을 받으셔서 35 6%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18~49세 청장년층 중 사전예약 대상자의 예약률은 67 2%이며, 이미 접종을 받았거나 다른 대상군으로 예약하신 분들을 포함하면 현재 실제 인구 대비 81 5%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직까지 접종예약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9월 18일 18시까지 예약을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당초 추석 이후의 날짜로 예약하신 분들은 예약일정을 앞당기고자 하시는 분들은 예약을 취소한 후에 다시 예약하여 더 빠른 날짜로 일정을 조정하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부터 18~49세 연령층의 예방접종이 전국 위탁의료기관과 예방접종센터에서 실시됩니다 8월 26일부터 9월 5일까지의 예약자는 지역과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을 받게 되고, 대상자별 백신 종류는 백신 공급상황에 따라서 주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개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다만, 백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당일 접종기관의 상황에 따라 문자로 안내된 것과는 다른 종류의 백신이 접종될 수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도 당부를 드립니다 모든 접종완료자께서는 아나필락시스에 대비하기 위해서 예방접종 후에 15분 내지 30분간은 접종기관에 머물며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에 관찰해 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상태를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에 다른 신체증상이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주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18~49세가 맞게 되는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접종 후에 심근염·심낭염과 같은 이상반응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는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를 삼가주시고,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의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진료를 받아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다음은 청장년층의 코로나19 발생상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8월 26일 기준으로 20~49세의 청장년층은 11만 9,509명이 확진이 돼서 전체 확진자의 49 1%가 청장년층 연령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만 4,000여 명으로 18 2%, 30대가 14 9%, 그리고 40대가 15 9%가 발생을 하여서 20대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장년층의 사망자 현황은 8월 26일 기준으로 총 41명이 사망하여서 전체 사망자의 1 8%였습니다 연령군별로는 20대가 8명 그리고 30대가 11명, 40대가 2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서 치명률은 0 034% 정도였습니다 청장년층의 위중증환자 발생 현황은 8월 26일 기준으로 총 719명에서 위중증사례가 발생하여서 위중증 발생률은 0 06% 정도입니다 연령군별로 보면 20대가 67명, 그리고 30대가 193명, 그리고 40대가 459명이었습니다 최근 7주간의 델타 변이 바이러스 유행이 진행되는 4차 유행시기에서의 환자 발생을 분석한 결과, 20~40대의 연령군이 환자 발생 비중이 가장 높고, 일평균 발생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40대 연령군의 주요한 감염경로는 가족, 지인, 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의 비중이 40% 이상이고, 조사 중인 비율도 33 9%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7주간의 위중증사례는 20~40대 위중증사례가 417명이었습니다 전체 위중증사례 중의 58%가 최근 4차 유행에 발생하였습니다 위중증환자 중에 미접종자가 412명으로 대부분이었고, 접종완료자는 1명이었습니다 사망자는 최근 7주간에 사망으로 보고된 177명 중에 20~40대 사망자는 13명이었습니다 이 중 10명은 기저질환이 있으셨고, 주요한 기저질환은 악성신생물 그리고 순환기계 질환 그리고 내분기계 대사성 질환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다음은 청장년층의 예방접종 효과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8월 14일까지 접종을 완료하신 분들에 대한 예방접종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18~49세 확진자 중의 93 7%는 접종을 받지 않은 미접종자였고, 4 2%는 불완전접종자 그리고 2 1%가 접종완료자였습니다 위중증 및 사망에 대한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18~49세 확진자 중의 3만 5,000여 명에 대해서 확진 후에 28일 이내에 위중증·사망 여부를 추적·관찰한 결과, 미접종자 중에 중증화 수는 292명으로 중증화 비율은 0 85%였고, 접종을 완료하신 분 중에 위중증으로 발생한 경우는 1명이었습니다 사망과 관련해서는 미접종자 중에 사망자는 8명인 반면에, 접종완료자 중에는 사망자가 없어서 중증과 사망의 예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현황입니다 18~49세의 청장년층에 대해서는 현재 1,058만 건 정도의 접종이 진행되었고,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5만 5,000여 건이 신고가 돼서 신고율은 0 53%입니다 신고사례의 97%는 대부분 근육통, 두통과 같은 일반 이상반응이고, 3%는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신고를 하였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중대한 이상반응의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18~49세의 신고된 주요 이상반응 중 현재까지 이상 인과성에 대해서 심의한 사례는 총 432건이었고, 이 중에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는 사망 2건, 중증 4건 그리고 아나필락시스 123건이었습니다 또한, 인과성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분류된 경우는 13건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백신 수급상황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오늘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3만 5,000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합니다 또한, 내일은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4만 6,000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될 예정입니다 이상입니다 -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일시 : 2021 8 26 (목) 14:10 🔹장소 : 질병관리청 브리핑실 🔹발표 :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배석 : -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 김계훈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 최원석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