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에 뇌 쪼그라들어'치매' 관련 부위 위축

미세먼지에 뇌 쪼그라들어'치매' 관련 부위 위축

▶ ※ 점점 탁해지는 공기 -산업화 등의 영향으로 공기의 질 계속 나빠져 -측정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200종 이상 달해 -미세먼지는 1년 내내 신체 건강 위협하는 요소 ▶ ※ ‘대기오염물질’ 호흡기‧눈‧피부에만 악영향? -폐‧심혈관 문제 비롯해 전신 질환 위험 높인다는 연구결과 이어져 -경도인지장애‧치매 환자의 신경정신행동도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 ※ 대기오염물질이 한국인의 뇌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 규명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 박사‧김창수 교수 팀,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EHP)‘ 게재) -수도권 등 4개 지역 거주 건강한 장‧노년층 957명 연구 -평균 연령은 67 3세며 성별로는 남성 427명, 여성 530명 -연구 대상자들은 치매‧뇌졸중‧파킨슨병 등 뇌 질환 없어 -뇌 영상검사 통해 대기오염과 뇌 건강의 상관관계 분석 ※ 분석 내용 연구 대상자들의 거주 지역별 주요 대기오염물질인 △PM10 △PM2 5 △NO2 농도를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대상자의 대뇌피질 두께 및 피질하 구조물의 부피를 측정했습니다 ▶ ※ 대기오염물질의 특징 ① PM(Particulate Matter) -대기 중에 떠 있는 고체‧액체의 미세 입자 -황산염‧질산염‧중금속 등 오염물질의 복합물 -지름이 10㎛ 이하면 PM10(미세먼지) -지름 2 5㎛ 이하는 PM2 5(초미세먼지) ② NO2 -대표적인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자극적인 냄새를 가진 적갈색 기체 -자동차, 선박, 산업용 보일러 등에서 배출 ▶ ※ 대기오염물질이 뇌 위축시키는 부위 ① PM10 : 전두엽‧측두엽 두께 감소 ② PM2 5 : 측두엽 두께 감소 ③ NO2 : 뇌 전반에 악영향 [Check!] 치매의 기억력 감퇴와 관련 있는 곳 얇아져 대기오염물질 노출의 영향으로 얇아지는 뇌 영역은 주로 학습‧기억을 담당하는 곳으로 확인됐습니다 치매의 기억력 감퇴와 관련 있는 부위입니다 ▶ ※ 대기오염물질 & 뇌 건강 TIP! 기저 질환이 없는 건강한 노년층도 대기오염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뇌 노화가 빨라지고 치매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높으면 외출을 피해야 합니다 불가피한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꼭 착용합니다 ------------------------------------------------------------------------------------------------------ 이미지 출처 : ⓒ 123RF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