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잇]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국내 영향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nW7x5eXq4Io.webp)
[뉴스잇]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국내 영향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 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체결한 한국도 '상호관세' 부과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 후폭풍이 우려되는데요 관련 소식,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파트너들의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 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먼저, '상호 관세'에 대해 설명해주신다면요? [질문 2]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앞서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데 이어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와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미국이 이렇게 관세 전쟁에 나서는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1]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무역적자 해결 뿐 아니라 외교나 정치적으로도 활용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보세요? 실제로 관세 장벽을 높이려는 목적이라기보다 협상을 끌어내고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에 가깝다는 평가도 나오는데요? [질문 3] 세계 각국엔 비상이 걸렸습니다 일단 백악관을 방문한 인도 총리부터 미국을 설득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었는데요, 인도는 미국으로무터 무기 구매와 에너시 수입 확대 등도 약속했죠? [질문 4] 우리나라는 한미FTA로 거의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면제나 예외를 기대할 수 없고,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우리나라도 피할 수 없을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트럼프 미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등에도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할 의향을 재확인해했습니다 자동차, 반도체 분야는 대미 수출 1, 2위를 차지하고 있기도 한데요 현재 자동차, 반도체 분야가 우리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됩니까? [질문 5-1] 자동차 관세 부과 역시,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 자동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는데요? [질문 6] 여기에 더해 미국은 반도체법 보조금과 관련해서도 재협상을 검토하고 있고, 일부 보조금 지급을 연기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우리 반도체 기업에 타격이 예상되는데요 외신보도(로이터)에 따르면 보조금 지급 조건의 변경 범위와 기존 합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우리 기업의 타격이 불가피해 보이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7] 또하나 미국이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의 규제 가운데 하나는 한국 정부와 국회에서 추진해온 온라인 플랫폼 기업 독과점 규제입니다 미국무역대표 지명자는 유럽연합과 우리나라 등 온라인 플랫폼 기업 독과점 규제 움직임에 대해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미국 입장에서 우리나라는 무역 파트너 가운데 무역적자액 '톱 10' 안에 포함돼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무역 흑자액은 557억 달러(약 81조원)에 달하고요 미 재무부로부터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재지정된 상태인데요 이 부분이 관세 대상국 지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9] 트럼프 미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4월 초에 하겠다고 밝히면서 협상의 여지는 남겨뒀다는 해석도 나옵니다만, 우리나라 사정이 녹록치가 않습니다 대통령 권한 대행 체제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지 않겠습니까? [질문 10] 실제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전화 통화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정부·민간 차원의 대미 협상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어떤 전략을 짜야할까요? [질문 11] 이런 가운데 금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온스당 3천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 이렇게 금값이 상승하고 있는 원인은 아무래도 트럼프발 불확실성 때문이겠죠? [질문 12] 이런 움직임에도 한국은행은 금을 사들이는 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 매입을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인데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 [질문 13] 시중에서 골드바 품귀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요 '금' 가격이 급등하면서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도 수익률이 증가했습니다 올 연초 이후의 수익률이 24 51%로 같은 기간 코스피의 수익률의 약 4배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금’ 관련 상품의 투자를 고민하신다면, 어떤 부분을 고려해봐야할까요? ▣ 연합뉴스TV 두번째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