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한강공원 서울함 공원 (서울함,  참수리 고속정, 잠수함)

망원한강공원 서울함 공원 (서울함, 참수리 고속정, 잠수함)

서울함 공원은 2017년 11월 22일 조성되었으며, 대구급 호위함인 서울함, 제2 연평해전에 참전한 동급기종인 참수리 고속정, 정찰 임무를 수행하던 190톤 규모의 돌고래급 잠수정 총 3척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나루길 407 입장료는 성인 3000원, 어린이 1000원, 군인/청소년 2000원 입니다 문의 02-332-7500 서울함?(호위함) 제원 1984년에 국내기술로 건조되어 30년간 우리나라 영해수호의 임무를 완수하고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서울함은 1900t, 전장 102m, 전폭 11 3m의 호위함입니다 참수리(고속정) 제원 우리나라 연안경비를 담당했던 전장 37m, 전폭 6 6m, 배수량 130t의 고속정으로 서해 제 1,2연평해전에 참전한 고속정과 동급 기종입니다 잠수함(돌고래급) 제원 1991년부터 2016년까지 특수작전 임무를 수행했던 전장 25m, 전폭 2 1m, 190t 규모의 돌고래급 잠수함입니다 ----------------------------- 제2 연평해전 2002 6 29 연평도 서방 22km 해상 제2 연평해전 개요 2002년 제17회 월드컵축구대회의 마지막 날을 하루 앞둔 6월 29일 오전 10시 25분 무렵, 서해 북방한계선(NLL)남쪽 3마일, 연평도 14마일 해상에서 일어남 제2 연평해전 결과 이 해전으로 아군촉 해군 참수리-357호정이 침몰하였고 윤영하소령, 한상국상사, 조천형중사, 황도현중사, 서후원 중사, 박동혁병장 등 6명이 전사하였으며, 19명이 부상 당하였다 북한측 피해상황은 북한 경비정에 화염이 발생하여 퇴각하였으며, 아군촉 보다 많은 인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 되나 정확한 피해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2차 연평해전 이후 대한민국 해군은 기존 5단계였던 교전 수칙을 3단계로 단순화하여 대응토록 하였으며, 참수리급 보다 화력과 성능을 대폭 개선한 윤영하급 고속함을 건조 하여 배치하게 되었다 * 침몰했던 참수리-357호정은 인양해서 당시의 처참한 피탄혼적을 보존한 상태로 서해함대(서평택)안보관 야외에 전시하고 있으며, 전쟁기념관(야외)에도 복제품을 전시해 두고 있다 제 2 연평해전 배경 6월은 연평도 근해에서 꽃게잡이가 시작되는 시기로 제 2 연평해전은 북한 경비함정 등산곶 684호정과 육도 388호정이 꽃게잡이 어선단속을 빌미로 NLL을 월선함 한국 해군은 서울에서 월드컵이라는 국제행사가 개최되는 관계로 NLL을 사수하되 반격 외에 먼저 사격을 할 수 없다는 지침이 있는 상황에서 북한 등산꽃 경비정 684호정이 85mm 전차포를 참357호정에 기습적으로 발사함으로 교전이 시작됨 우발성이 짙었던 1999년 1차 연평해전 때와는 달리 2차 연평해전은 1차 연평해전에서의 참패에 따른 보복을 위해 계획적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이 조사와 분석을 통해 밝혀짐 #서울함공원 #서울가볼만한곳 #망원한강공원 #제2연평해전 #참수리고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