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12 토요일 본문: 단5:17-31 다니엘, 벽에 쓴 글씨를 벨사살에게 전하다

2022.11.12 토요일 본문: 단5:17-31 다니엘, 벽에 쓴 글씨를 벨사살에게 전하다

2022년 11월 12일 토요일[해설] 본문: 단 5:17∼31[69장 온 천하 만물 우러러] 제목: 다니엘, 벽에 쓴 글씨를 벨사살에게 전하다 [손가락으로 벽에 쓴 글씨의 내용과 의미는?] 벨사살은 다니엘을 통해 벽에 쓰인 글씨의 뜻을 듣습니다. 다니엘은 선왕 느부갓네살의 역사를 거론하며 왕을 책망합니다. 다니엘은 벨사살의 교만과 어리석음을 지적하고 글자에 담긴 하나님의 심판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1. 망각: 벨사살은 선왕 느부갓네살의 역사적 교훈을 알면서도 잊었습니다. 벨사살은 선왕 느부갓네살이 권력을 남용하여 하나님 앞에서 교만하게 굴다고 하나님께 벌을 받고 돌이켜 회복된 것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역사의 교훈을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더욱 교만하여 하나님을 모독하고 우상을 찬양했습니다. 벨사살은 역사의 교훈을 잊어버리고 마음을 낮추지 않았습니다. 결국 그의 교만과 어리석음이 그를 파멸로 몰아갔습니다. 2. 책망: 다니엘은 벨사살 시대가 끝나고 나라는 둘로 나뉘어질 것을 전했습니다. 당시 왕들은 자신들에게 나쁜 소식을 전하는 사람을 죽이곤 했습니다. 하지만 다니엘은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고 진리를 선포했습니다. 다니엘은 왕에게 하나님이 보여주시는 대로 벽에 쓴 글씨의 뜻을 알려주고자 했습니다. 벽에 쓴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하나님이 왕을 저울에 달아보니 기준에 못미쳐서 왕의 나라의 시대는 끝나고 메대와 바사에게 넘기기로 결정하셨다”는 뜻입니다. 다니엘은 하나님 앞에서 “마음을 낮추라”고 권했습니다. 하지만 느부갓네살과 달리 벨사살은 자신을 낮추지 않았습니다. 결국 벨사살은 감당할 수 없는 심판이 임했습니다. 3. 실행: 심판이 선언되던 날 밤 벨사살은 죽임을 당했습니다 하나님을 알면서도 거부하는 것은 무지함보다 더 악한 것입니다. 벨사살은 권력과 부를 가졌지만 그의 나라는 완전히 타락했습니다. 그는 고집스럽게도 하나님을 부정했습니다. 결국 그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몰락하고 말았습니다. 곧 바로 그날 밤 벨사살은 죽고 강성했던 바벨론은 하루 아침에 메대의 군대에 멸망당하고 말았습니다. 역사가 크세노폰에 의하면 바벨론 왕궁의 연회 참석자들이 술에 만취되어 있을 때, 메대의 군대는 바벨론 도성 안으로 공격해 들어가 벨사살 왕을 밤 중에 살해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벨론은 메대 사람 다리오가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벨사살은 자기 아버지의 일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교훈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는 벨사살만의 일이 아닙니다. 우리의 어리석음도 벨사살에 못지 않습니다. 우리도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고 무엇을 싫어하시는지 알면서도 모른척하고 의도적으로 외면하기도 합니다. 부디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마음을 낮추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에 순종하며 살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