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개월째 '고용 쇼크'…취업자 증가 10만명 턱걸이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5개월째 '고용 쇼크'…취업자 증가 10만명 턱걸이 [앵커] 5월 7만명에 그쳐 충격을 줬던 일자리 증가폭이 지난달에도 10만명을 겨우 넘었습니다 정부가 일자리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30만명은 커녕 20만명도 못넘은 것이 5개월째인데요 실업자마저 반년째 100만명을 넘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뒤 최대 고용 충격입니다 박진형 기자입니다 [기자] 일자리 사정이 일시적 충격을 넘어 깊은 수렁에 빠져들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6월 취업자수는 2,712만 6,000명 1년전보다 고작 10만 6,000명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2월 10만4,000 명으로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지더니 5월엔 7만명에 그치는 등 다섯 달 내리 10만명대 이하에서 헤매고 있는 것입니다 취업자수 증가가 다섯달이나 10만명대 이하에 그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미달 이후 처음입니다 실물경기 판단 지표인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000명 줄어 석 달째 감소했고 청년층이 많은 교육서비스업 감소폭도 10만명을 넘었습니다 [빈현준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인구적인 부분의 감소도 기본적인 구조적인 측면의 영향도 있는것 같고요 제조업이라든지 특정산업에서 구조조정 여파라든지 이런 것들도 같이…" 실업률은 3 7%로 1년 전보다 0 1%포인트 낮아졌지만 실업자는 103만4,000명으로 올들어 내내 100만명을 넘었습니다 최대 사회적 문제가 된 청년실업도 정부 대책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석 달째 10%대 고공행진을 하다 지난달 9%로 낮아졌지만 이는 공무원 시험이 끝나 청년들이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데 따른 결과였던 것입니다 더딘 경기 개선세와 청년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가 겹쳐 나타난 고용 부진은 단기간내 개선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 jin@yna co 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