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가 자기만 싫어하고 미워한다는 초1 아이_2013.01.23 - 서천석 선생님 | 우리 아이 육아 훈육 부모 교육
아이 나이별 재생목록 들으러가기: --- 육아 블로그 --- 올해 여덟 살 일곱 살 다섯 살 13개월 134 * 존중합니다 대단하시네요 아이들이 많다 보니 사교성도 좋고 밝고 그런데 유독 첫째인 큰아들이 문제가 많습니다 원래 차다 얘기는 기대감이 많다고들 하잖아요 첫째는 4살 때부터 학습지 시키고 여섯 살이 하는 피아노 시켰습니다 곧잘 따라 하기 위해서는 제가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스트레스 받았나 봅니다 왜냐면 공부라고 나서 제가 한번 해봐 하면서 확인을 했거든요 그랬더니 그 녀석이 언제부터 나는 공부를 하기 싫어하고 제가 확인 하는 걸 굉장히 싫어하더라구요 한 번은 유치원 참여수업 애가 있는데 다른 아이들이 엄마가 왔다고 열심히 발표하는데 우리 아들만 딴 짓을 하고 있는 거예요 거기서 표현은 못 하고 나중에 선생님께 여쭤 선생님 원래 우리에게 저렇게 발표 잘 안 하나요 그래도 선생님은 발표 잘하는데요 그리고 선생님도 잘 도와 줘요 아마도 엄마가 보고 있으니까 쑥스러워 있나 봐요 하시는 거예요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게임 하는 시간 있었어요 사람 수보다 한 개 모자란 훌라후프를 빨리 차지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었는데 마지막 살아남은 사람에게 선물을 주겠다고 했어요 그러자 우리 아이가 눈에 불을 켜고 저랑 게임을 하는데 이미 적거든요 우리가 이겼다고 해도 막무가내로 끝까지 훌라후프 안에 들어가는 거예요 무슨 일을 하면 승부욕이 강해서 쉬며 놀고 자기 뜻대로 안 되면 화를 동생 만나서 동생이 많아서 제가 항상 큰 애한테 너는 오빠니까 동생들한테 양보를 해 라고 큰 애 혼내는 일이 많았어요 그러면 아이는 엄마는 맨날 나만 혼내 엄마가 나만 합니다 큰애를 바로잡아 놓아야 아래를 도 보고 배울 거 라는 마음으로 큰애기 훈계를 많이 한 점은 인정하는데 얘가 엄마에게 거리감을 많이 느껴요 아빠가 일찍 출근하는데 출근 하는 소리가 들리면 총알처럼 튀어나와서 안아 주고 가 하면서 대성통곡을 합니다 남들이 보면 제가 마치 3 엄마처럼 엄마에게 남겨진 아이처럼 말이죠 그리고 한 번은 유치원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친구들 중에 엄마가 자기를 미워한다고 시작하는 사람 손 들어 봐요 그래서 30명의 친구들 중에 유일하게 우리 아들만 손을 준 거 있죠 상담을 갔는데 선생님이 저에게 그런 거예요 동생들 때문에 스트레스 많이 받나 봐요 엄마가 동생들만 이뻐하고 자기는 미워한다 그래요 앞으로 좀 더 잘 돼 해 주세요 저는 너무 챙피해서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이해하고 왔는데 다녀와서 아이에게 말했습니다 너는 엄마가 8년 동안 사랑했고 동생들은 7년 5년 1년 반 밖에 사랑 못 했어 네가 제일 많이 사랑 받았어 하지만 아들은 아직도 자기가 제일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하면서 잠도 아빠 그만 잡니다 둘째가 연년생인 아들 집에 동생이 있어서 관심을 많이 가져 주지 못 했는데 어떻게 관계 개선을 해 나 가면 좋을까요 큰애를 바로잡아 놓아야 아래 애들도 보고 배울 거라고 마음으로 훈계를 많이 한 점 인정하는데 애가 엄마에게 거리감을 많이 느껴요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뒤지고 생각해보면 시어머니 시어머니가 며느리한테 며느리한테 며느리가 가정에 복도를 알아야지 손자 손녀들 잘 키울 거 같기 때문에 좀 며느리에게 가서 열심히 가르쳤는데 나에게 거리감을 많이 들어가네요 당연히 당연히 사람은 자기를 괴롭히는 사람을 괴롭히는 사람을 피하고 자기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방법밖에 없습니다 마음을 얼마나 알겠습니까 예를 들어서 내가 사랑한다고 말하고 그다음에 한 대씩 때리면 진짜 사랑한다고 상대를 느낄 수 있을까요 엄마는 마음 속은 사랑이 많으세요 하는 거는 공부 잘 했는지 확인 아닌데 왜 나한테 내 마음과 그다음에 행동과 아이가 느끼는 거 이게 다 다를 수 있거든요 어머님이 그러면 자기 마음을 사랑을 사람 그대로 아이한테 정해 줘 보세요 사람이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다 받는 사람 사람이라고 늙기 전에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랑을 받는 사람은 좀 좀 좋아 하지 않더라도 내가 해야 될 부분이 있겠죠 그거는 전체 사랑해서 꼭 작은 부분이야 됩니다 그 사람이 작은부분 이어야지 그 사람이 더 많은 부분이 곤란합니다 엄마가 이제 아이를 사랑하는데 애가 좀 필요해서 내가 지금 얘를 좀 밀어붙여서 여기 있을 수 있어요 아이가 좋아하는 걸 충분히 더 많이 해 줘야 됩니다 그래야 아이가 엄마의 사랑을 우심 하지 않는데 내가 느낄 때는 사랑한다고 느끼기에는 곤란합니다 지금 엄마가 엄마가 아빠 이렇게 자고 있어요 거리가 블록에서 엄마는 속상한데 하실 어머님 욕심을 부리는 거예요 사랑받고 싶은 욕심이에요 엄마가 엄마가 엄마가 지금 사랑받고 싶은 애가 나한테 거리가 별로 보기가 괴로운 거예요 이거 날 좀 사랑했으면 날 좋은 엄마라고 좀 해 줬으면 너를 위해서 노력했는데 날 좋은 엄마라고 좀 해 주기를 바라고 있어 그걸 안 바람 안 바람에 우리 담당 할지 모르겠어 그냥 엄마라고 보겠냐 내가 이렇게 돼 있는데 이렇게 아니면 좋은 엄마로 안 가 느낄 수 있도록 엄마가 행동을 하시든지 행동이 뭔지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내가 큰 애한테 어떤 혼내면 동생들이 어떤 좋은 습관이 잡을 거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경구가 많이 되어 있는데 내가 나쁜 버릇이 있다고 해도 동생들은 별다른 각각 자기 계속 탑니다 살기 때문에 하고는 무관한 동생들 버릇이 나빠지는 김호신 말씀이 큰애는 제대로 잡아 놓으면 동생들이 따라서 잘 것이다 이런 일은 세상에 발생하지 않고 그대를 잡으면 그녀는 기 죽어 있고 동생들은 제멋대로인 응석받이 확률이 높습니다 부모님이 그렇게 생각하지 마시고 아이들이 여럿일때 라고 하더라도 내 능력이 잔인한 모두 개별적인 아이로 키우는 거 아니라 그거 그 어려운 거 아니겠어요 신경도 많이 라고 생각하면 어때요 팥쥐 엄마 그렇죠 이제 스스로 스스로 내가 날 좋게 보기는 어렵다 바로 가르치겠다 근데 그만큼 또 어떤 사람 받고 싶은 사람을 못 주니까 그 아이가 평생을 사랑을 갈구하는 아이고 잘생겨서 또 그렇게 살 수가 있죠 그러면 거기 매달린다는 또는 반대로 수요일 날 있는데 왜 지원을 안 자든지 아니면 또 이제 아예 나는 사랑 받기 어려운 존재라고 생각하면서 우울증이 좀 생긴다든지 이럴 수 있으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어머님이 없어 지금 정성을 드리고 있어요 바꾸시면 좋은 말로 아 다르고 어 다르다 고 우리가 그거 안 돼 있는데 그 연습하면 됩니다 제가 외국에 가서 이제 우리 학교 그래 인제 관찰을 안녕하셨어요 칭찬을 굉장히 잘 하더라고요 칭찬을 하는데 굉장히 제가 보기엔 약간 닭살 돋는 칭찬들이 있어요 오늘 기분이 좋아지고 오늘 점심 밥 맛이 도와줄 거 같다 내가 학생으로 준게 내 인생에서 진짜 보람된 일이다 뿌듯한 느낌이 있어 그래서 선생님한테 물어 봤어요 그거 어디서 배운 했냐고 그런 칭찬하는법 그 사범대에서 그렇게 그렇지 않고 안태준 맞으세요 선생님들이 자기한테 해준 말을 그냥 자기가 애들한테 하는 거야 그 말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거야 지금 뭘 잘 해라 이런 얘기 듣고 잘 하다 보니까 우리가 자식들 키우면서 사랑은 있지만 말은 다 나옵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부터 2개를 끊어야지 한국 사회에서 이 대리 좀 끊어지 내 대해서는 이게 아니라 잘 안 되지 근데 너 잘 할 수 있다고 엄마 생각해 한번 이렇게 말을 할 수 있어 이게 우리에게 습관이 안 잡혔습니다 내 몸에 돼지 같은 지적도 좀 더 긍정적으로 말할 수 있게 내가 어떤 부모님들도 시키는 게 오늘 아이를 야단치는 것 좀 적고 그거를 긍정적으로 말하는 거 여기 다 적어 봐 그럼 한 번씩 읽어 보고 자 나 이렇게 됐는데 6개월 정도 의식적으로 노력을 안 되고 이따 보면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거 내가 어릴 때 듣는 대로 마음 속에 하지 않고 칭찬만 하면 얘가 잘 못 나갈 거야 나는 그런 생각도 가지고 있어요 그것도 그 말도 눈 있거든요 했는데 긍정적으로 말하는 게 훨씬 효과가 좋다는 걸 전통 계승 발전시키고 나쁜 것은 단절 10시다 --- 자기만 싫어한다는 아이,자기 싫어한다고 하는 아이,미워한다는 아이,부모가 자기만 미워한다는 아이,형제간의 갈등,자매간의 갈등,첫째 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