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키우기 초보분들을 위한 식물 물주기 개념

식물 키우기 초보분들을 위한 식물 물주기 개념

안녕하세요 초식남TV의 초식남입니다 형식적으로 화분 물주기를 한다면, 복불복으로 식물이 잘 살수도, 죽을 수도 있습니다 식물 물주기를 하는 이유는, 물이 부족한 식물에게 물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작은 식물일수록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적고, 큰 식물일수록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많습니다 식물 잎의 양이 많을 수록, 잎이 클 수록 더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화분 크기'인데요 화분크기가 클 수록 많은 흙의 양이 들어가게 됩니다 작은 식물을 큰 화분에 심으셨다면, 작은 식물이 원하는 물의 양보다, 많은 흙이 젖기 때문에 뿌리가 썩게 되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과습이라는 개념입니다 흙이 마르는 조건은 온도와 공중습도, 일조량 , 화분의 재질(토분) 흙의 통기성(펄라이트,마사토,바크 입자가 큰 무기물 형태의 흙 재질) 통풍 등등 많은 조건이 있는데요 실외의 화분은 위의 조건 중, 대부분을 충족하기 때문에 비가 오더라도 흙이 금방 마르게 됩니다 이렇게 밭에 상추를 심듯, 실내에서 넓은 화분에 작은 상추모종을 심는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흙이 젖게 되고, 그 흙은 마르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작은 식물은 흙안의 물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악순환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화원에서 작은 식물을 구매 후 나중에 커질 것을 생각해서 큰 화분에 심으신다면, 죽을 확률이 올라갑니다 이게 대부분 식물이 죽는 이유입니다 그러니 전문가가 해준 화분대로 키우며, 혹여 분갈이를 하신다면 생각보다 작은 화분, 식물의 크기와 맞는 화분에 심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주는 개념을 완료했으니, 물주는 방법도 알려드릴 건데요 1 그냥 위에서 물주기 - 물을 그냥 줘도 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흙이 굳은 경우 물이 골고루 흡수되지 않을 확률이 있습니다 (물길) 또한 흙이 물을 머금을 수 없는 경우, 식물이 충분한 물을 섭취할 수 없습니다 2 저면 관수 - 원하는 물의 양만큼 줄 수도 있습니다 굳은 흙의 화분을 서서히 젖게 만듭니다 식물에게 물을 100%로 먹일 수 있습니다 3 분무질 - 관엽식물은 공중습도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공중습도가 낮으면 잎끝갈색으로 탑니다 식물은 잎으로도 물을 흡수합니다 공중습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분무질과 가습기등 방법이 있습니다 식물 물주기 영상에 등장한 칼라데아 오르비폴리아라는 식물은 공중습도에 아주 민감한 식물입니다 이렇듯 공중습도를 높이는 것도 물주는 방법 중 한가지 입니다 즉 순환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식물은 원하는 물의 양만 먹고, 저장을 합니다 그리곤 물을 사용하고, 물을 다시 채워서 쓰는 순환입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식물_물주기 #식물_물주는_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