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첫 대면하는 윤 대통령…한중 관계 어디로? / KBS 2022.11.14.](https://poortechguy.com/image/rHlfaYMC3fM.webp)
시진핑 첫 대면하는 윤 대통령…한중 관계 어디로? / KBS 2022.11.14.
이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내일(15일) G20 회의장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과 처음 인사를 나눌 것으로 보입니다. 한중 정상의 정식 정상회담 성사 여부는 아직도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G20 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조태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의 정상회담 여부에 대해 아직도 "지켜봐 달라"는 입장입니다. 거의 3년 만의 한중 정상회담 가능성이 열려는 있지만, 뚜렷한 진전은 없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정식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더라도 내일 G20 회의장에서 마주칠 것으로 보입니다. 즉석에서 '풀어사이드'라 부르는 약식 회담을 가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의제 조율이 안 됐기 때문에 논의에 한계가 있어 구체적인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정부 때 방한 의사를 밝혔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불발됐습니다. 최근에는 3연임 문제로 시 주석이 매우 바빴다는 게 회담 성사가 난항을 겪는 데 대한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하지만 지난 정부 미·중 사이 '균형 외교'에서 미국 주도 '가치 외교'로 우리가 무게 중심을 옮긴 게 영향을 끼쳤을 거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어제 한미일 공동성명에서도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 '힘에 의한 현상변경 반대' 같은 중국을 겨냥하는 듯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대통령실 측은 원론적인 발언일 뿐이라고는 했는데, '한중 관계의 가장 큰 도전은 미국'이란 최근 주한 중국대사 말을 생각한다면 중국의 속내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오늘 행정수도 이전을 계획하는 인도네시아 측과 경제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공급망 문제로 비롯된 세계 복합 위기를 극복하자는 연설을 하기도 했습니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 권순두/영상편집:최찬종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시진핑 #윤석열 #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