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N팩트] 중국, 다음주 백신 효과 발표하고 본격 접종 나설 듯 / YTN

[취재N팩트] 중국, 다음주 백신 효과 발표하고 본격 접종 나설 듯 / YTN

中, 지난 7월 백신 ’긴급 사용’ 허가…"100만 명 접종" ’일반인’도 자원하면 접종 가능…대기자 많아 ’암표상’ 등장 中 제약사 "백신 긴급 사용 과정서 심각한 부작용 없어" [앵커] 중국도 이르면 다음 주에 자국산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발표를 하고 본격 접종에 나설 전망입니다 중국은 발표도 하기 전에 이미 100만 명 정도에 '긴급 접종'을 했고 남미와 아시아지역에 수출까지 했습니다 이 소식은 베이징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성웅 특파원! 중국에서 100만 명 정도 접종을 했다고 하는데 정식 사용 승인이 난 겁니까? [기자]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백신을 '긴급 사용' 허가를 통해 우선 접종하고 있는 겁니다 중국은 지난 7월 국유 제약회사인 시노팜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긴급 사용 승인을 했습니다 주로 의료진이나 공항 항만의 검역원, 해외 출장자 등이 대상입니다 일반인도 자원하면 맞을 수 있습니다 얼마 전 미국 뉴욕타임스는 자원자가 많아서 접종을 하려면 오래 기다려야 하고, 접종 예약권을 파는 암표상까지 등장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시노팜은 최근 60만 명에 대해 긴급 접종을 했다고 했는데 100만 명 정도가 접종을 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보도 내용입니다 [앵커] 중국 백신의 안전성이 궁금한데 어떻습니까? [기자] 중국 제약사나 전문가들은 아직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약간의 구토나 어지럼증 같은 것은 있지만 경미한 증상이고 대부분 곧 나았다는 겁니다 중국 당국은 그러나 자국산 백신의 효과나 부작용 에 대해 구체적인 발표를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일부 매체에서 해외 출장자들이 맞아봤는데 100% 면역 효과가 있었다는 식의 보도가 있었는데 공식 데이터로 보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효과에 대해서도 화이자나 모더나처럼 몇 %라고 공식 발표를 해야 하는데 아직 하지 않았습니다 중국도 백신 개발에 국가 전체가 나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신뢰성에 아직 의문이 남아 있습니다 [앵커]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은 중국산 백신을 본격 수입 했는데, 이 나라들은 어떻게 이런 결정을 내린 겁니까 ? [기자] 중국은 그동안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은 물론 파키스탄, 터키 등 세계 10여 개 국가에서 백신 임상 시험을 해왔습니다 중국에는 코로나19 환자가 하루 10여 명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임상 시험을 하기 어려워 외국에 가서 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이런 과정에서 인도네시아가 어제 120만 회분을 수입했고, 브라질 상파울루주도 지난주에 100만 회분을 들여왔습니다 두 나라 모두 자국 보건 당국의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아 내년 1월부터 본격 접종을 한다는 계획입니다 인도네시아는 이번 달 말까지 천 500만회 분, 그리고 내년 1월에 3천만 회분을 더 수입할 계획이라고 중국 매체 글로벌타임스 신문이 보도했습니다 백신의 원료를 팔아서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브라질의 경우 상파울루주는 중국에서 수입한 백신을 1월에 긴급 사용승인을 받아서 접종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브라질은 연방정부가 안전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서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앵커] 어쨌든 개발도상 국가들은 중국 백신을 많이 의존하고 있는 상황 아닌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터키도 보건장관이 직접 중국 시노백에서 만든 백신 5천 만 회분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매체들은 현재 100개국이 넘는 나라에서 중국산 백신 수입 주문을 받았다고 보도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social@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