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이상’ 상수도관 11%…전국 곳곳 ‘붉은 수돗물’ 공포 / KBS뉴스(News)

‘30년 이상’ 상수도관 11%…전국 곳곳 ‘붉은 수돗물’ 공포 / KBS뉴스(News)

최근 전국 곳곳에서 '붉은 수돗물' 사태가 연이어 터지면서 주민 불편이 커지고 있는데요 여러 원인이 겹쳐 있지만, 대부분은 낡고 오래된 상수관 탓에 생긴 사고입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문래동 주민들은 벌써 일주일 째 수돗물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먹는 물 기준 이내라지만 수돗물을 거른 필터는 금세 황토색으로 변합니다 지난해 완공한 새 아파트인데도 이런 탁한 수돗물이 나옵니다 [김OO/문래동 주민 : "저희가 새 아파트라 그런가 저수조도 청소 한 번 하셨다고 하고 당연히 (붉은 물이) 안 나올 거라고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 서울시는 이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이 50년 가까이, 오래된 탓으로 보고 교체를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문래동을 포함해 시내 노후 상수도관 138km를 늦어도 내년까지 교체합니다 긴급 예산 727억 원을 책정했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상수도관을 통한 전달상의 문제로 발생한 이번 사고에 대해서 저는 감히 이것은 서울시의 치욕이었다, 이렇게 판단합니다 "] 서울은 이렇게 급한 불을 끈다지만, 다른 지역은 사정이 심각합니다 30년이 넘은 상수도관은 전국에 2만 3천여 킬로미터 전체의 11%를 차지합니다 개별 아파트나 가정집에서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붉은 수돗물' 사태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얘깁니다 [구자용/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 : "일부의 물질들이 관로상에 퇴적될 수가 있고요 2차적으로는 오래된 노후관에서는 녹이라든지 여러 가지 불식 부산물들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 새로운 상수도관은 해마다 2 5%씩 자꾸 늘어나는데, 노후관을 바꾸거나 손보는 비율은 채 1%도 안 됩니다 관리가 안 되는 노후관이 갈수록 느는 겁니다 환경부는 어제 전국 17개 시도 상수도 관계자와 긴급회의를 열고 예산 부족으로 상수도관 개량이 어렵다면 관 세척이라도 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