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s 전통예술원 무용과] 오진찬 -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https://poortechguy.com/image/rc6AEfjf9oY.webp)
[K'Arts 전통예술원 무용과] 오진찬 -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youtube 채널 영상을 사전허가 없이 무단으로 복사·배포·판매·전시·개작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 Copying, distributing, selling, exhibiting, or rewriting the YouTube channel video of the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ithout prior permission may result in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2023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정기발표회 [효명전집] 오진찬(전승과 창작) ㅇ 일 시 : 2023년 05월 20일(토) 18:30 ㅇ 장 소 : 국립국악원 예악당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 ◆출연 학_김윤서 남기혜 이예림 이현규 연화대 동기_권지아 전시윤 협무 김예슬 오다영 오수연 홍라겸 봉죽간자_윤다은 최신영 악사_나애리 안나현 학무鶴舞와 연화대蓮花臺는 각각 독립된 춤이었는데 세종조 이후 여러 춤을 엮어서 추는 합설형식을 이루었다 학‧연화대합설무는 나라의 어진 정치를 칭송하는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 학무는 향악무로 조선 초기 『악학궤범』에 청‧백학이, 조선말기 『정재무도홀기』에서는 청·황학, 고종9년 정현석의 『교방가요』에서는 백학 한 쌍이 서로 대무하면서 춤을 추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 춤 중에서 새의 형상을 뒤집어쓰고 추는 유일한 탈춤이다 연화대무는 고려시대부터 추어온 당악정재로 두 동녀가 봉래에서 내려와 연꽃술로 생겨났다가 군왕의 덕화에 감격하여 가무로써 그 즐거움을 가져다주러 온 것으로, 미신사에 그 내용이 전해진다 중국에서는 [석지무]라 한다 학‧연화대합설무는 학이 연통을 쪼면 동기가 나와서 춤추는 드라마틱한 구성의 향·당악 복합 정재이다 ●창사 기석광화 주재봉래 ●장단 세령산 12 도드리 10 타령 32 향당교주 5 기석광화 도드리 4 주재봉래 도드리 24장단 빠른 도드리 14 타령 18 빠른 타령 12 타령 4 향당교주 2 아악장종 타령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