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락의 명심보감(나를 찾아가는 明心寶鑑). 36강. 7. 존심편(存心篇). 1~3장.

최동락의 명심보감(나를 찾아가는 明心寶鑑). 36강. 7. 존심편(存心篇). 1~3장.

#명심보감 #주역 상경(上經) #풍류사랑TV #수양 #명상 (모든 강의의 더보기에 2번 들어가시면, 본문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 ▶ ▶ 최동락의 명심보감 강의 (전체목록) ▶ 최동락의 주역 읽기 상경 (전체목록) ▶ 주역 설괘전 강의 (전체 목록) ▶ 주역 계사전 강의 (총 80강 전체 목록) ▶ 하락연의 강의 (총 73강 전체 목록) ▶ 장자 강의 (총 101강 전체 목록 ) ▶ 노자 강의 (총 81강 전체목록) ▶ 경서제자 강독 (총34강 전체 목록) 명심보감(나를 찾아가는 明心寶鑑) 36강 7 존심편(存心篇) 1~3장 7 存心篇(존심편) 1) 景行錄云 (경행록운)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좌밀실)을 (여통구)하고 馭寸心을 如六馬면 (어촌심)을 (여육마)면 可免過니라 (가면과)니라 ▶경행록에서 말하였다 “밀실(密室)에 앉아 있기를 마치 네거리(衢)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한 치의 마음(寸心) 다스리기를 여섯 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過)을 면할 수 있다 ” 2) 擊壤詩云 (격양시운) 富貴를 如將智力求인댄 (부귀)를 (여장지력구)인댄 仲尼年少合封侯라 (중니연소합봉후)라 世人은 不解靑天意하고, (세인)은 (불해청천의)하고, 空使身心半夜愁니라 (공사신심반야수)니라 ▶격양시(擊壤詩)에서 말하였다 “부귀(富貴)를 지혜(智)와 힘(力)으로 가질 수 있을 것 같으면, 중니(孔子)는 젊은 나이에 마땅히 제후(諸侯)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헛되이 몸과 마음으로 하여금 한밤중에 근심하고 있다 ” 3) 范忠宣公이 (범충선공)이 戒子弟曰 (계자제왈) 人雖至愚나 責人則明하고, (인수지우)나 (책인즉명)하고, 雖有聰明이나 恕己則昏이니, (수유총명)이나 (서기즉혼)이니, 爾曹는 (이조)는 但當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 (단당이책인지심)으로 (책기)하고, 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서기지심)으로 (서인)이면 則不患不到聖賢地位也니라 (즉불환부도성현지위야)니라 ▶범충선공이 자제(子弟)를 경계하여 말하였다 “사람이 비록 지극히 어리석으나(愚) 남을 꾸짖는 데는 밝고(明), 비록 총명함(聰明)이 있으나 자기를 용서(恕)하는 데는 어둡다 너희들은 다만 항상 남을 꾸짖는(責人) 마음으로써 자기를 책하고(責己), 자기를 용서하는(恕己) 마음으로써 남을 용서한다면(恕人), 성현(聖賢)의 경지에 이르지 못할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