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소’ 4~5년 뒤 한국 해역 유입 / KBS  2023.02.16.

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소’ 4~5년 뒤 한국 해역 유입 / KBS 2023.02.16.

[앵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로 흘려보내면 방사성 물질인 '삼중 수소'가 4, 5년 뒤에는 한국 해역에 흘러들 거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다만, 한국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를 크게 높이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오염수 방류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보도에 강예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소' 확산 실험 결과를 내놨습니다 일본이 오염수를 다음 달부터 10년 동안 연간 22조 베크렐 방류한다고 가정했을 때, 오염수 속 삼중수소는 방출 4 ~ 5년 뒤부터 한국 해역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한국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방류로 예상되는 삼중수소의 농도는 국내 해역 평균 농도의 17만 분의 1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해류의 움직임에 집중한 것으로, 삼중수소가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이나 안전성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김경옥/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이번 시뮬레이션은 해수 중에 삼중수소에 대한 시뮬레이션입니다 아시다시피 삼중수소 자체는 이미 해수에 있는 거고, 거기 추가적으로 얼마나 포함되는지고 생태계 영향이라든지 이런 부분은 포함돼있지 않다 "] 또 삼중수소를 제외한 다른 방사성 물질의 영향은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도쿄전력이 2020년 12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오염수에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다핵종제거장치'를 통해 8년 동안 정화를 해도 세슘과 스트론튬 등 다른 방사성 물질은 기준치 이상으로 나옵니다 [민은주/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시민들의 안전이나 이런 것을 먼저 좀 염두에 두고 다각도로 정교한 시뮬레이션이 돼야 될 거 같은데 그렇지 못하고 그냥 (일본) 정부의 방향대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한 것 같아서…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을 완벽히 검증하지 않는 이상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 일본 정부가 아닌 우리 정부의 강화된 기준을 마련하고, 오염수 방사성 핵종에 대해 더 면밀하게 검증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영상편집: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