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성큼' 앞서가는 AI 경쟁…"우리나라도 다 갖췄다" / SBS / 초대석
〈앵커〉 요즘 미래 산업인 인공지능, AI 개발에 전 세계가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에 이어 중국도 생성형 인공지능인 딥시크를 공개하며 관련 업계를 놀라게 했는데요 오늘(21일)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함께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개발과 인재양성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Q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어떤 상황인가?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사실 그렇습니다 딥시크가 그중에 GPU 중에서 좀 저렴한 걸 가지고 똑똑하기는 고비용 GPU를 사용하는 것만큼 그런 AI 모델 딥시크사의 R1 모델이라는 겁니다 그거를 이제 만들어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엔비디아 주식을 완전히 그냥 떨어뜨리는 충격을 준 것이 사실인데 이런 문제는 그 챗GPT나 뭐 그다음에 다른 구글의 어쨌든 AI 모델이나 이런 것이 윤리적인 측면 또는 보완적인 측면에서 질문을 한다고 해서 다 대답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뭐 폭약을 어떻게 만드느냐 이런 건 답을 안 주거든요 이거는 나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런데 이거는 다 대답을 내주는 문제가 생기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게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게 하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이 딥시크사의 R1 모델은 이 정보가 과도하게 서버 쪽으로 넘어온 중국 쪽으로 가는 문제 또 중국은 또 정부가 원하면 이 회사가 그걸 다 주게 되어 있어요 법적으로 이러니까 이제 이 이게 이제 국가안보 문제도 걸리고 이런 문제 때문에 초기에 막 열광하다가 우리 부서가 이제 이걸 관할하니까요 이 문제가 생길 것 같아서 정부에 사실 건의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엊그저께 개보위가 공식적으로 확인을 했어요 그렇게 예상됐던 대로 정부가 간다 그래서 개보위 차원에서 지금 우리나라 전체는 다운로드를 못 받게 지금 차단을 한 상태입니다 ] Q 전 세계 AI 개발 경쟁…우리나라 수준은?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작년 말에 이제 세계적으로 유력한 이런 평가를 하는 기관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6위라고 평가가 됐는데 1위가 미국이고 2위가 중국 그다음에 3위에서부터 8위까지는 거의 차이가 없는 3위권이라고 사실은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세계가 인정하는 것은 인공지능을 하려고 그러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이런 것이 다 갖춰져야 하는데 우리가 제조업 강국이기 때문에 그래서 이걸 다 갖춘 나라는 미국, 중국, 한국이다라고 세계가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기반은 굉장히 좋다 이것은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 Q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정부 지원 필요한데?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그렇습니다 소위 대규모 언어모델 LLM머들은 고가의 또 고기능에 또 전력도 많이 쓰는 소위 GPU라는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요 그것이 이제 또 쿠다라는 아주 그것을 구동시킬 수 있는 그런 소프트웨어가 꼭 필요하고 이런 차원에서 전 세계가 지금 이 컴퓨팅 인프라는 GPU와 쿠다의 것을 다 사용하고 있고, 그다음에 고기에 같이 연동돼서 그걸 연산을 빨리 하게 하는 HBM이라는 반도체 칩이 같이 사용됩니다 당분간은 우리가 이 영역, AI 기술 영역에서 우리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GPU를 빨리 사서 우리가 컴퓨팅 인프라를 깔지 않으면 경쟁력을 가져갈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이건 선제적으로 그것도 늦어지면 별로 의미도 없을 수가 있거든요 선제적으로 2년 내에 우리가 한 3만 장은 깔아야 하는 거 아니냐 이것이 국가 적으로 볼 때 꼭 필요하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 Q AI 기술 개발 위한 인재…양성은 어떻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향후 5년 내가 가장 중요한 건데 대학 졸업하고 대학원생 또는 아주 지금 대학 박사를 받고 이런 사람들이 역할을 주로 해 줘야 하는 5년이 될 거예요 일단 우리 지금 인재 유출이 많이 심하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전 세계로 많은 훌륭한, 아주 우수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자들 미국, 유럽, 일본에 많이 실제로 주요한 연구소에 많이 포진돼 있고 그분들을 어떻게 유턴을 해서 지금 이 상황에 국가대표로서 우리나라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그런 주최자로서 그분들을 어떻게 영입해 올 수 있느냐 이게 가장 현실적인 그런 숙제라고 보고 있고요, 그런 노력을 반드시 기울여야 된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더 자세한 정보 ☞[초대석] 기사 모아보기 #SBS뉴스 #초대석 #ai #중국 #딥시크 #한국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유상임 #과기부 #장관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X(구: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