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도 물가 1%대…김장채소 가격 불안은 여전 / KBS 2024.11.05.](https://poortechguy.com/image/syZumPjvh7U.webp)
10월도 물가 1%대…김장채소 가격 불안은 여전 / KBS 2024.11.05.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1.3% 올랐습니다. 3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두 달 연속 1%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 속에도 배추, 무 등 김장채소 가격은 여전히 불안한 모습입니다. 김진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채소가게에서 파는 배추 세 포기 한 망 가격은 만 4천 원. 한 달 전 3만 2천 원에 비하면 절반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그래도 평년보다는 여전히 가격이 높은 수준입니다. [이웅희/채소가게 운영 : "가격이 많이 내려가긴 했는데 사실은 지금 이 가격보다 조금 더 내려가야 된다고 보고 있어요."] 실제 지난달, 배추(51.5%)와 무(52.1%) 등 김장 채소가격은 1년 전보다 50% 이상 뛰었고, 상추(49.3%), 호박(44.7%)도 많이 올랐습니다. 지난달 채소류는 15.6% 올라, 2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김장을 앞두고, 소비자들의 고민도 깊습니다. [소비자 : "(언제 김장하실 계획이세요?) 12월에요. 작년에는 11월에 했어요. 올해는 배추가 비싸니까 늦게 하려고…"] 일부 채소 가격 불안에도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3% 상승에 그쳐 두 달 연속 1%대를 유지했습니다. 3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입니다. 석유류 가격 하락이 물가 상승세 둔화를 이끌었습니다. 1년 전 높았던 가격의 기저효과로 휘발유(10.6%)와 경유(16.1%) 모두 10% 이상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사과(20%)와 포도(6.5%) 등의 과실류와 쌀(8.7%) 가격 하락세도 두드러졌습니다. [김범석/기획재정부 제1차관 :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가격도 1%대로 둔화되면서, 하향 안정세가 공고해지는 모습입니다."] 정부는 이번 달부터 유류세 인하폭이 축소된 영향 등으로 11월 물가 상승률은 소폭 확대될 가능성이 있지만,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2% 이내의 안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이호 고형석/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여현수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10월 #물가 #최저상승률